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방역당국 "총선 관련 확진 사례 아직 없어…생활방역 성과"

무증상 감염 비율 30% 이상 집단감염도 많이 관찰…긴장 늦추지 말아야"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방역당국이 현재까지 총선 투표와 관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이는 생활 방역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자가격리자도 투표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자가격리 중인 인천지역 유권자들이 15일 오후 인천시 계양구 신대초등학교에 마련된 한 투표소에서 투표하고 있다. [인천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자료사진]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25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에 치러진 4·15 총선과 사전투표 과정에서 현재까지 관련 확진 사례가 감시망에서 확인되지 않았다"며 "마스크·장갑 착용과 거리두기 등 생활방역이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보통 잠복기가 5∼7일이 지나면 증상이 많이 나타나지만, 최장 잠복기인 14일이 경과해야 확실히 더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면서 "14일이 지나도 사례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선거 방역 대책이 향후 국내외 행사나 선거 과정에서 참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감시망에서 놓친 부분도 있을 수 있고, 최근 국내외 여러 집단감염 사례에서 무증상 감염의 비율이 30% 이상 나타나는 경우도 관찰되고 있어 계속 긴장을 늦추지 않고 철저히 감시하고 평가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재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명 내외에서 안정세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서도 이 순간에도 조용한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권 부본부장은 "국내에서 31번 환자가 발생하기 전 코로나19 유행이 마감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직후 폭발적인 발생이 일어났고, 싱가포르에서도 한순간에 유행이 증폭됐다"며 "밀집된 환경에서는 코로나19가 폭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는 증상 발현 전에도 전파되고, 80% 이상의 경증 환자가 있다는 점에서 좀 더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며 "현재까지는 흡연자, 비만, 기저질환자, 임산부 등이 고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또 다른 고위험 요인이 있을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