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세종의사당 시너지로 지역현안 ‘재시동





국회 세종의사당이 세종시의 막힌 현안을 푸는 추진 동력이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5일 세종시에 따르면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가 가시화하면서 달라지는 도시 환경을 고려한 교통수요 분산 정책 및 주거안정 대책을 새로 추진한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최근 정례브리핑에서 세종의사당 설치에 따라 교통수요 분산 정책으로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건설기간 단축과 수도권전철 종점을 천안에서 세종까지 연장하는 안을 대선 공약 건의안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중앙부처 추가이전 등으로 서울(수도권)∼세종 이동수요가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수도권전철을 세종까지 연장하는 안을 대선 주자들에게 요청할 계획이다.

세종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고속철도 이용인원은 2017년 624만명에서 2019년 816만명으로 30% 늘었다. 고속버스 역시 2017년 113만명에서 2019년 130만명으로 증가하는 등 이동 수요는 매년 늘고 있다. 시는 세종의사당이 설치되면 국회사무처 직원과 국회의원 보좌관 등 3500명에 달하는 관련 종사자가 세종시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주·유동 인구가 달라지는 만큼 새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통수단을 도입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내세우고 있다.

시는 또 수도권전철을 천안에서 조치원까지 연장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수도권전철을 국철로 연장하면 향후 대전 반석∼세종 조치원∼충북 청주공항까지 이어지는 광역철도인 ITX 경부선을 활용해 정부세종청사와 국회 세종의사당을 지날 수 있도록 교통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종시 ITX세종선 노선 검토안. 세종시 제공

4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된 대전 반석∼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나성역∼정부세종청사∼조치원역∼충북 오송역∼청주공항으로 이어지는 광역철도(49.4㎞) 추진 시기 단축도 예상된다.

아직 이전하지 않은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 명분도 커지고 있다. 세종의사당 설치로 세종시가 ‘행정도시’에서 ‘행정수도’로 거듭나는 만큼 중앙부처 및 관계 기관의 세종시로의 이전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앙행정기관의 대거 세종 이전으로 인구유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세종지방법원과 제2행정법원 등 사법부의 세종분원을 설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세종시는 부처 및 세종의사당 직원들을 위한 주거 대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시는 신규 전입하는 공무원 등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아파트 거주기간을 현행 6년에서 더 늘리는 안을 검토 중이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