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침팬지도 만나고 헤어질 때 '안녕' 한다..제스처 주고 받아 교류

그래그래 0 222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침팬지도 만나고 헤어질 때 ‘안녕’ 한다…제스처 주고 받아 교류

침팬지와 보노보는 인간이 만날 때와 헤어질 때 인사를 주고 받듯 함께 놀거나 손질을 해주기 전후에 제스처를 주고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뇌샤텔대 등 국제연구진은 동물원에 사는 침팬지와 보노보 무리를 관찰해서 발견한 사회적 교류 1200여 건을 분석해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서로 시선을 고정하는 두 침팬지의 모습.

이들 동물의 사회적 교류는 주로 신체 접촉과 시선을 고정하는 형태였다. 신체 접촉은 서로 만지고 손을 잡고 을 골라주는 것 등이 있었다.

특히 두 동물 집단 사이에는 사회적 교류 전후에 따라 제스처를 사용하는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보노보는 교류 전 서로 쳐다보는 것과 같은 제스처를 교환하는 비율이 90%에 달했지만, 침팬지의 경우 69%에 불과했다.

침팬지 두 마리가 사회적 교류를 끝낼 때 주고 받는 제스처.

하지만 교류를 끝내는 제스처는 보노보가 92%, 침팬지가 86%로 서로 비슷했다.

흥미로운 점은 보노보의 경우 서로 친한 사이일 때 사회적 교류 전후 주고 받는 제스처가 간소화됐으며 어떨 때는 완전히 생략됐다는 것이다.

이는 인간 역시 마찬가지로, 친한 친구와 교류할 때 정중하게 대하는 노력을 덜 하게 되는 것과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침팬지 사이에서는 이런 성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침팬지가 보노보보다 덜 평등한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유인원의 특별한 행동은 지금까지 인간 이외의 다른 종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면서 “이는 오랫동안 인간 고유의 행동으로 여겨졌지만, 이 연구로 이들 역시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연구 주저자인 뇌샤텔대의 라파엘라 헤젠 박사도 “인간은 이런 능력을 갖고 있는 덕에 로켓을 발사하고 달에 착륙할 수 있었다. 이 능력은 개인이 혼자 달성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성취를 하도록 해준다”면서 “이는 인간 본성의 핵심으로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이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더욱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셀(Cell) 자매지인 ‘아이사이언스’(i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