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기후변화, 물고기 크기마저 줄여..멸종위기 높인다" (연구)

그래그래 0 239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기후 변화 탓에 해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물고기의 크기가 줄어들어 일부 어종은 멸종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우려 섞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칠레 건조지대 첨단연구센터(CEAZA)와 영국 레딩대 등 국제연구진은 과거의 기온 변화가 물고기의 진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했다.

이를 통해 이들은 과거 물이 따뜻해졌을 때 물고기의 크기가 줄었고 이는 수온 상승에 맞춰 신진 대사를 조절해야 했던 것이 원인임을 알아냈다. 그런데 이 때문에 물고기는 이동 거리가 줄어들어 주변의 환경이 변해도 좀더 자신에게 걸맞는 환경으로 이동하는 능력마저 제한됐다는 것이다.

기후 변화의 이런 영향은 인간의 다른 활동에 의해 강화될 수 있으며 남획 또한 물고기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에 참여한 크리스 벤디티 레딩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후 변화로 인해 바다가 따뜻해지는 만큼 물고기 크기가 작아진다는 이론을 지지하지만, 물고기가 처음 생각했던 것만큼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진화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스러운 소식을 드러냈다”면서 “바다의 온도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상승하면서 물고기는 진화적인 측면에서 금방 뛰처져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해야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우리가 먹는 어종 대부분이 앞으로 몇십 년간 점점 희귀해지거나 존재하지 않게 될 수 있기에 모든 물고기와 식량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유럽멸치(Engraulis ringens)와 대서양청어(Clupea harengus), 태평양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 태평양청어(Clupea pallasi) 그리고 남아메리카정어리(Sardinops sagax)와 같은 상업용 어종을 포함한 다양한 청어목 어종의 1억5000만 년 역사를 탐구했다.

이들의 분석에 따르면, 역사적으로 더 작은 청어목 물고기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바다에서 서식하며 이동 거리가 짧고 속도가 느려 신종 형성률이 낮았다.

이 결과는 예상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 물고기는 더 많은 산소가 있어야 신진 대사를 높이고 신체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 세계의 바다가 따뜻해질수록 작아질 것으로 여겨졌다. 크기가 큰 물고기는 작은 물고기보다 에너지 저장량이 많다. 그런데 크기가 줄어들면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줄어 기후 변화에 따라 더 적합한 환경을 찾아가는 능력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진은 현재의 온난화 속도는 전례가 없다고 경고하면서도 비록 이번 연구는 청어목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런 결과는 모든 어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기후 변화(Nature Climate Change) 최신호(8월 9일자)에 실렸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