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진' 발생…퇴원기준·모니터링 체계 바뀌나
방역당국 "25번 환자, 면역 저하 상태서 재발 추정"
전문가 "흔치 않은 사례…임상적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피곤에 지친 코로나19 검체 채취 공무원(칠곡=연합뉴스) 29일 경북 칠곡군 보건소 선별진료소 부근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체 채취를 담당하는 이 모(29·여) 주무관이 피곤에 지쳐 잠시 쉬고 있다. 이 주무관은 주말 없이 3주 연속 근무하고 있다. 2020.2.29 [칠곡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arksk@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발'로 추정되는 재확진 환자가 나와 방역당국과 전문가들에 심각한 고민거리를 안겨줬다.
방역당국은 중국과 일본 등에서 이미 유사 사례가 보고된 만큼 재발했을 가능성을 높게 본다면서도 흔치 않은 사례로 판단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사례가 '방역대책' 자체를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예외적인 사례로 판단할지, 아니면 퇴원 기준과 퇴원 후 모니터링 기준까지 모조리 바꾸는 계기가 될지를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25번째로 확진된 74세 여성 환자는 이달 9일 확진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치료받고 지난 22일 퇴원했다. 그러나 경미한 증상이 발생해 검사를 시행한 결과 전날인 28일 다시 코로나 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퇴원 후 6일 만이다.
이 환자가 재감염됐는지, 재발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었으나 우선 방역당국은 면역력 저하로 인한 재발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전문가들도 체내 면역력이 저하하면서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돼 재발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재감염이라면 이 환자가 완치 후 바이러스에 다시 노출돼 감염됐다는 의미인데, 이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다른 (바이러스성) 폐렴에서도 좋아져서 퇴원했다가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는 경우가 흔하진 않지만 있긴 하다"며 "25번 환자 사례로 보아 (코로나19가) 재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엄중식 가천대학교 길병원 교수 역시 "(완치 판정 당시에는)바이러스 활성도가 굉장히 떨어져 있어서 검사에서 확인이 안 됐다가 재발했을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마스크 품절(대전=연합뉴스) 김준범 기자 = 29일 오후 대전시 중구 대흥동 하나로마트에서 마스크 품절 안내문이 걸려 있다. 2020.2.29 psykims@yna.co.kr
다만 엄 교수는 25번 환자 사례가 국내 방역대책에 '화두'를 던질 것이라고 봤다.
그는 "우선 재발 환자가 (타인에)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만약에 그렇다면) 퇴원 기준이 바뀌는 건 물론 퇴원 후 격리 조치도 고민해야 한다"며 "매우 드문 사례라는 것은 확실하므로 국내 환자를 아주 예외적으로 볼지 아니면 방역체계를 바꾸는 계기가 될지는 두고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완치 판정 후 재확진 사례가 잇따라 보고되자 퇴원 환자가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는 우려가 확산했다. 결국 중국 일부 성에서는 퇴원 환자를 집이 아닌 격리시설에서 2주간 더 관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국내 방역당국은 중앙임상위원회 등 전문가의 사례 검토를 거친 후 논의하기로 했다.
애초에 코로나19가 '신종 감염병'이므로 퇴원 등의 관리를 조금 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외신에 따르면 중국 내 코로나19 완치자의 14%에서 바이러스가 다시 검출된다고 한다"며 "퇴원자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는 완치될 경우 완벽하게 평생 면역이 되는지, 바이러스가 잠복 감염 상태로 수시 때때로 재발할지, 아니면 새로운 코로나19에 감염되는 문제가 생길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러스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감염 후 평생 면역이 되기도 하고 체력이 약해진 틈을 타 재발하기도 한다.
예컨대 전염력이 매우 높은 질환 중 하나인 홍역은 발병된 뒤 열이 나고 발진이 생기지만 이후 회복하면 항체가 생겨서 다시 걸리지 않는다.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앓았던 수두 바이러스가 특정 신경절 속에 잠복해 있다가 몸이 약해지거나 면역력이 떨어질 때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한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