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개발하다 유행 끝난다…신속임상 절차 왜 한국만 없나"
비공개
0
388
0
0
2020.02.26 00:16
송만기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 인터뷰
"선진국, 검증 플랫폼서 만든 백신
4~6개월 걸리는 독성실험 면제
임상시작에 미국 석달, 한국 8개월
전염병 플랫폼 시스템 마련해야"
신종코로나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에서는 ‘백신이 개발됐다’는 소식이 나왔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백신 상용화에서 고비는 개발보다 이후 진행되는 임상시험이라고 입을 모은다. 3상까지 하면 보통 10년이 걸리는 임상시험에 발목이 잡히는 사이, 감염 유행이 끝나 ‘골든타임’을 놓치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사스(SARS)ㆍ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은 아직도 백신이 나오지 않았다. 미국ㆍ유럽 국가들은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임상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하지만 한국은 기술보다 규제에 발목잡혀 백신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대 관악캠퍼스에 자리잡은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IVI)의 송만기 사무차장에게 들어봤다.
Q : 미국ㆍ유럽 등은 백신개발에서 임상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라고 하는데.
A : 맞다. 선진국에선 안정성이 검증된 기술에 대해서는 임상실험 전에 하는 독성실험을 면제해주고 있다. 물론 모든 백신에 대해서 독성시험 면제해주는건 아니다. DNA 백신 등 안정성이 검증된 기술 중 같은 '플랫폼 기술'에서 생산된 것에 한해서다. 플랫폼 기술이란, 이전 백신에서 특정 항원이나 유전정보만 바꿨을 때 바로 대체 가능한 기반 기술을 뜻한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기존에 있던 플랫폼에 새 바이러스의 항원을 넣어서 백신을 만드는 기술이다. 독성시험만 최소 4~6개월 걸리는데 이 단계를 뛰어넘으면 그만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코로나19처럼 빠르게 감염이 확산될 때는 신속성이 제일 중요하다.
Q : 한국은 우수한 기술이 있는데도, 규제 때문에 바이러스 백신 개발이 어렵다고 하는데
A : 그렇다. 한국에는 아직 독성시험을 면제해주는 제도가 없다. 국내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백신이 개발된다해도 임상에 빠르게 들어갈 수 있는 절차 자체가 없는 거다. 관련 기업 중에는 규제만 없다면 3개월이면 백신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하는 곳도 있다. 실제로 독성시험을 면제받는 미국은 대략 3개월 정도에 임상을 시작할 수 있다면, 같은 백신에 대해 한국은 최소 5개월은 더 걸린다고 보면 된다. 현재 백신 개발 중인 미국의 이노비오가 여름에 임상에 들어간다고 밝혔는데, 이런 제도 덕에 빠르게 임상에 들어갈 수 있게 된거다. 이런 경우 미국에서는 이미 임상 중인것도 국내에 들어와서는 다시 독성실험부터 해야 할 수도 있다. 한국도 임상을 빨리 할 수 있는 절차가 있으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는데 아쉬운 부분이 있다.
Q : 한국이 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가장 필요한건 뭔가.
A : 독성시험을 강제하는 규제를 완화해주는 동시에 플랫폼 기술 개발 또한 속도를 내야 한다. 예전에는 백신을 개발하다가 감염 유행이 끝나버려 멈추는 경우가 많았다. 근데 전염병예방혁신연합(CEPI) 라는 기관의 등장하면서 플랫폼 기술의 중요성이 커졌다. 플랫폼으로 여러 백신을 만들어서 검증 해놓으면 향후 새로운 바이러스 생겼을 때 빠르게 대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금은 과거에 비해 백신 개발 시간 단축되고 있지 않나. 한국도 백신을 빠르게 개발하고 플랫폼을 가지고 있으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Q : 변이가 심한 바이러스에도 백신의 효과가 있을까.
A : 바이러스에 변이가 있다 해도 어느 정도 변화까지는 기존 백신이 방어할 수 있었다. 코로나19도 아직은 백신 개발 이후 변이까지 우려할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