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오늘의사건사고8

Sadthingnothing 0 264 0 0
PICK 안내
코로나19 사망자 11명 중 7명, 청도대남병원서 발생
온돌방, 식사방법, 부실한 치료 등 주요인으로 지목
"이제라도 개선"…장애인단체, 인권위에 긴급구제 진정
[이데일리 함정선 박기주 기자] 코로나19가 창궐한 경상북도 청도 대남병원에서만 숨진 확진환자가 7명이다. 모두가 폐쇄식으로 운영되는 대남병원 정신병동 한 곳에서 사망했다. 전국 사망자 12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 곳과 연관돼 있는 셈이다.

열악한 치료서비스는 물론이고 일반적인 침상이 아닌 온돌방에서 함께 지내는 구조가 감염병 확산을 부추겨 이런 참사를 낳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공개한 한 정신병동 폐쇄병동의 다인실 내부


◇‘다닥다닥 온돌방에 폐쇄적 환경’…청도대남병원 사망자 7명째

26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인원은 총 12명이다. 이 중 7명이 청도 대남병원에서 발생했다. 대남병원과 관련된 확진자가 총 114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치사율이 약 6.1%에 이른다. 이는 중국 후베이성 사망률(3.3%)보다도 높다. 특히 확진자 중 12명의 상태가 심각하거나 중증을 나타내고 있어 추가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다른 곳에 비해 대남병원 정신병원의 피해가 큰 이유로 환경적인 요인이 지목되고 있다. 이 병원이 공개한 내부 사진을 보면 정신병동의 다인실은 침대가 아닌 온돌방으로 운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방에서는 적게는 9명, 많게는 십수명이 함께 생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국가인권위원회의 정신병원 격리강박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부분 사립병원 정신병동은 폐쇄병동으로 운영되고 다인실로 돼 있다. 다인실로 운영되는 폐쇄병동은 거의 온돌식 작은 방에 여러 환자가 붙어 지낼 수밖에 없는 구조로 돼 있으며 폐쇄병동에서 7인 이상 다인실 비율은 평균 60%였다.

더구나 정신병동 특성상 창문이 좁고 출입문이 제한돼 있어 환기가 어렵고 함께 모여서 먹는 식사하기 때문에 피해를 더 키웠다는 지적이다. 인권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폐쇄병동이라 하더라도 6개 정도의 침대가 놓여 있고 대부분 각자 공간이 있는데, 언론 등에 공개된 것을 보면 대남병원은 온돌방에서 생활하고 있어 전염병 확산이 용이한 구조”라며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폐쇄병동 특성을 고려하면 더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또 대남병원 정신병동 입원 환자들이 제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대남병원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것은 지난 18일, 병원 측은 15일부터 환자와 의료진들이 발열 증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확진 판정을 받은 신천지 첫 확진자인 31번 환자가 7일부터 증상을 나타낸 것과 신천지 총회장의 친형의 입원과 장례를 치른 것이 1월 말인 것을 고려하면 병원 측의 설명 이전부터 증상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26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장애인 인권이 없는 차별적인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장애인단체, 인권위 긴급구제 진정…“코호트 격리는 전염병 인큐베이터”

이에 장애인단체는 지금이라도 폐쇄병동에 있는 환자들의 치료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보건복지부와 경상북도 등을 대상으로 폐쇄병동에 대한 지원체계를 마련해 달라며 인권위에 긴급구제 진정서를 제출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등 12개 장애인단체는 이날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신장애인들이 폐쇄병동이 아닌 지역사회에 살았더라면 집단사망에 이르는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하루빨리 집단격리가 아닌 다른 확진환자에 대한 조치와 같은 치료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장연은 “이번 대남병원에서 발생한 상황은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재난 상황이 폐쇄병동 입원자와 같은 소수자에게 얼마나 폭력적인 재앙인지, 지역사회 의료시스템이 집단 격리수용 시설과 얼마나 괴리돼 있는지를 여실히 확인시켜주고 있다”며 “환자의 보건과 인권을 최우선한다는 의료기관의 폐쇄병동의 실상은 집단감염이 시작된 대참사의 발원지였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남병원에 시행된 코호트 격리에 대한 우려도 컸다. 염형국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는 “6인 1실로 운영되고 있는 대남병원을 코호트 격리하는 것은 경증을 중증으로 만드는 전염병 인큐베이터이고 최선을 고려하지 않고 코호트 격리라는 차선, 차차선을 선택한 것”이라며 “한 명씩 격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등 최소한의 방어라도 해야 하는데 고민도 없이 차선을 선택하는 것은 명백한 차별이고 중증장애인을 보건 사각지대에 놓이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애인 단체는 “보건당국은 집단격리, 집단치료 형태에서 하루빨리 벗어나 다른 확진환자에 대한 조치와 동등하고 안전한 치료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며 “더 이상 폐쇄병동이 아닌 지역사회와 통합된 환경에서 적절한 의료시스템을 이용하며 함께 살아가기 위한 강력한 ‘탈원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대남병원에서 사망자가 잇달아 발생하자 이날 오후 25명의 환자를 외부로 이송해 치료하기로 했다.

박기주 (kjpark85@edaily.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