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1년만에 적자규모 10배"… 아시아나항공, 지난해 영업손실 3683억원

아시아나항공의 적자 폭이 1년만에 10배 늘었다. /사진=아시아나항공

금호가를 떠나 범현대가 품에 안기는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경영실적이 발표됐다. 적자폭이 대폭 늘었지만 인수합병(M&A)를 통한 시너지 효과와 2조원이 넘는 자금수혈로 조속한 정상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12일 2019년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5조9538억원, 영업손실 3683억원, 당기순손실 672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대비 매출액이 4% 줄었고 영업손실 규모는 약 10배, 당기순손실 규모는 약 7배 늘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적자 규모가 확대된 이유로 ▲하반기 한·일 갈등 및 LCC 공급 확대로 인한 경쟁심화, 이에 따른 여객 수익성 저하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 및 물동량 감소로 인한 화물 매출 부진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화비용 증가 ▲정시성 향상 및 안전운항을 위한 투자확대 등을 꼽았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일본노선 수요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로 인해 여객수요 전반이 위축돼 국내 항공업계가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다만, 올해 M&A 완료 시 대규모 신규 자금 유입 및 원가구조 개선으로 재무안정성 및 수익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아시아나항공은 경영방침을 ‘새로운 시작(Rebuilding) 2020’으로 정했다. 체질 개선 및 수익성 제고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노후기를 순차적으로 처분 및 반납하고 신기재 도입(A350 3대, A321NEO 4대)을 통해 유류비 절감 및 기재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노선별 투입기종 최적화로 기재 운영효율도 제고할 계획이다.

여객부문은 이번 코로나19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운항 및 감편을 시행하고 대체노선 및 환승수요를 적극 유치할 방침이다. 비수익노선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해 수익성 있는 부정기노선은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등 시장수요에 맞춰 대응할 계획이다. 프리미엄 전담 판매조직 신설 및 전용 채널을 이용해 프리미엄수요 유치를 통한 수익성 개선에도 나선다.

화물부문은 5G, AI, 폴더블 디스플레이 부품 등 신성장 수출품목에 대한 안정적 수요 확보, 글로벌 업체와의 협업 지속, 시장상황에 따른 탄력적 노선 운용, 미취항 구간 대상 인터라인을 통한 네트워크 확장 등으로 수익 기반을 보다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성공적 인수 후 통합을 통한 범현대가와의 시너지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올해 매각 및 인수 절차 완료 시 2조2000억원 수준의 자본이 유입돼 부채비율이 업계 최고수준으로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아시아나항공 측은 설명했다. 재무안정성을 바탕으로 신용등급 상향 및 손익개선을 위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HDC그룹의 여객 상용 및 화물수요 유치와 더불어 범현대가와 신규 사업 시너지를 통한 실적개선도 기대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M&A를 통해 예상되는 계열사간 다양한 사업 시너지에 대해 검토 중”이라며 “당사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도움이 되는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개발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