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제주항공, 위기경영체제 돌입…경영진 임금 30% 반납

이석주 대표, 사내메일 통해 "심각한 위기 국면 진입"
"이스타항공 인수 건은 차질 없이 진행"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가 12일 사내메일을 통해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사진=제주항공 제공)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제주항공(089590)이 업황 부진에 따라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한다. 경영진들은 임금의 30%를 자진 반납하고, 승무원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무급휴가 제도도 전 직원으로 확대한다.

제주항공은 비상경영을 넘어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는 이날 사내메일을 통해 “작년부터 항공업계가 공급과잉과 한일관계 이슈로 인한 위기를 겪었다”며 “(또 올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슈로 항공 여행수요가 극도로 위축되면서 항공산업은 수익성 저하 차원을 넘어 생존을 염려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위기 국면에 진입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위기대응을 위해 경영진이 먼저 임금의 30% 이상을 반납할 것”이라며 “제주항공 인사원칙인 고용안정성을 유지시키면서 금번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기존 승무원 대상으로 진행했던 무급휴가제도를 전 직원 대상으로 확대한다”며 직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제주항공의 이같은 위기경영체제는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과 일본 불매 운동 등 대외 환경 탓에 단거리 여행 수요가 전반적으로 줄어들어 실적 부진으로 이어진 탓으로 풀이된다.

실제 제주항공은 글로벌 환경과 공급과잉에 따른 경쟁도 심화로 지난해 실적 영업손실 348억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자 올 1분기 실적 전망도 어두운 상태다.

제주항공은 위기경영체제를 통해 자구책을 마련하는 등 위기상황 극복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부터 추진해온 수익성 제고, 투자 우선순위 재설정 등을 넘어선 그 이상의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다만 위기경영체제에도 불구하고 추진 중인 이스타항공 인수 건은 차질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위기 상황이라고 해서 미래를 위한 투자를 멈추는 것은 아니다”며 “이스타항공 인수는 실사를 통해 정상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