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에서 밀려나는 4050… '비자발적 퇴직자' 50만명
일하고 싶어도 경기 부진으로 직장이 문을 닫아 일자리를 잃거나, 정리해고를 당한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가 지난해 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연도별 퇴직자(12월 조사 기준) 현황’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0ㆍ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14년(55만2000명)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해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가 전년 대비 2만8000명 줄었지만, 40대ㆍ50대는 3만2000명이 늘어났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전 연령층 가운데 10대와 40ㆍ50대만 늘었다.
연도별 퇴직자는 매년 12월 조사 기준으로 당해 연도에 퇴직해 12월 조사 시점까지 실직 상태인 경우를 포함한다.
통계청은 이직 사유를 총 11개 문항으로 조사한다. 이 중 ▶직장의 휴업ㆍ폐업 ▶명예ㆍ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4개 항목을 고르면 ‘비자발적 퇴직’으로 분류한다. 개인ㆍ가족적 이유나 육아ㆍ가사, 작업여건(시간ㆍ보수 등) 불만족 등은 ‘자발적 퇴직’에 해당한다.
40ㆍ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부터 2014년을 제외한 2017년까지 감소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8년 다시 늘기 시작해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증가했다.
40대 비자발적 퇴직자의 경우 직장이 문을 닫아 일자리를 잃은 사례가 크게 늘었다. 지난해 휴ㆍ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전년(1만8000명) 대비 8000명 가량 늘어난 2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2014년 이후 5년만에 가장 많았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직장을 잃은 40대도 2018년(4만9000명)보다 9000명 늘어난 5만8000명이었다.
50대에서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11만7000명→13만명), 명퇴ㆍ조기퇴직ㆍ정리해고(4만6000명→5만2000명) 에 따른 비자발적 퇴직자가 급증했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일터를 떠난 경우도 2018년(9만6000명)보다 2000명 가량 늘어난 9만8000명이다.
추경호 의원은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고용 상황이 최악인 데도 정부는 어르신 단기 일자리와 같은 세금 일자리 늘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며 “민간 활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바꾸는 근본 처방 없이 현 정책 기조가 계속되면 고용 상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