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보다 더 빨리 퍼지는 ‘코로나19 괴담’… 칼 빼든 IT 업계

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전염병보다 더 빨리 퍼지는 ‘코로나19 괴담’… 칼 빼든 IT 업계

비공개 0 488 0 0

[커버스토리] 공포심 악용한 가짜 콘텐츠 확산‘코로나19가 의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담은 유튜브 콘텐츠들. 일부 콘텐츠는 400만회에 육박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유튜브 화면 캡처
“콜록콜록. 여러분, 저는 우한에서 왔습니다! 콜록콜록. 전 폐렴입니다. 모두 저한테서 떨어지세요!”

이같이 외치며 지하철 안을 휘젓고 다니는 영상을 올린 유튜버 A씨는 결국 처벌을 눈앞에 두게 됐다. 그는 이전에도 관심을 끌기 위해 가짜로 환자 흉내를 내며 사람들의 공포심을 자극하거나 특정 집단을 비하하는 영상을 업로드해 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악용한 콘텐츠가 무차별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서 ‘우한 폐렴’이나 ‘신종 코로나’ 등을 검색하면 개인 유튜버의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중국 정부와 현지 언론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정부가 알리지 않는 모든 것’ 등의 제목으로 음모론을 제기하는 일부 영상의 경우 수백만에 이르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국면에 대규모 정보전염병 ‘인포데믹(infodemic)’ 양상이 나타나며 공중 보건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인포데믹은 인포메이션(information·정보)과 에피데믹(epidemic·전염병)을 합성한 용어로, 잘못된 정보나 악성 루머가 미디어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상황이 악화되자 대량의 정보를 실어나르던 글로벌 플랫폼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 괴담’이 전 세계인들에게 퍼지며 동양인에 대한 인종 혐오까지 부추기자 화살이 정보통신(IT) 서비스 업체들에 향하고 있어서다.

유튜브는 코로나19 관련 게시물을 민감한 콘텐츠로 분류해 감독에 나서고 있다. 기존 가이드라인에서도 정보가 유해하다고 판단되거나 위험한 콘텐츠, 증오성 콘텐츠로 판별될 경우 삭제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해온 만큼 코로나19 관련 콘텐츠에도 감시를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유튜브 측은 14일 “정책 위반으로 신고된 콘텐츠를 어느 때보다 신속히 삭제하고 있다”며 “정책 위반 경계선상에 있는 콘텐츠의 추천 노출을 제한하고, 사용자에게 유해한 잘못된 정보 확산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튜브는 지난달 말부터 코로나19 관련 영상을 통한 광고 수익화도 막고 있다. 그동안 유튜브 콘텐츠는 조회수에 따라 광고 수익을 낼 수 있어 자극적 콘텐츠를 생산하는 경우가 많았던 만큼 이 같은 조치가 유해 콘텐츠 업로드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코로나19 관련 검색이 이루어지면 일반 콘텐츠가 아닌 뉴스 채널의 관련 보도 게시물을 먼저 노출시켜 정확한 정보를 우선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SNS 업체도 코로나19 관련 허위·거짓 정보 확산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글로벌 팩트 체크 프로세스를 통해 허위 사실로 확인된 포스트의 배포를 제한하고, 경고 표시를 하고 있다. 또 각국의 보건 당국이 지적한 허위 게시물도 삭제하는 등 추가 조치에 나서고 있다.

트위터도 거짓 정보를 삭제하고, 코로나19와 관련된 해시태그를 검색할 경우 검증된 기관의 정보를 최상단에 노출하도록 했다. 사진·영상 공유 SNS인 인스타그램 역시 각 지역의 보건 당국의 정보를 우선 노출시키고, 위험한 콘텐츠를 차단하겠다고 밝히는 등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국내 포털 업체들도 허위 정보 확산을 막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플랫폼과 기술을 활용해 질병관리본부를 비롯한 다수 기관과 협업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전달된 질병정보 알림 메시지 화면. 카카오 제공
카카오는 최근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정보 메시지를 전송했다. 메시지는 카카오톡 ‘카카오 채널’을 추가한 1752만명에게 일괄 발송됐다. 이날 발송된 메시지 비용은 카카오가 전액 부담했다. 카카오 측은 “문자서비스로 전달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정보들을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또 지난달부터 다음(Daum) 웹페이지에서 ‘팩트체크’ 섹션을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기사 중 제목에 ‘팩트체크’나 ‘사실은’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뉴스를 자동으로 분류해 노출하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메인 화면에서 배너 등을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가 개발한 ‘SNU팩트체크’ 플랫폼 노출을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한 다양한 뉴스뿐 아니라 공적 사안에 대한 지식과 이해 증진을 위해 여러 언론사들이 팩트체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하지만 업계의 이 같은 노력에도 봇물 터지듯 퍼져나가는 가짜 정보 콘텐츠 확산세를 따라잡기엔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에는 공문서처럼 꾸며진 ‘관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발생보고’라는 사진 파일이 돌기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정부는 허위 정보 전파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국내법을 적용받지 않는 해외 사업자의 경우 신속한 게시물 삭제나 접속 차단이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보건 관련 이슈의 경우 해외 사업자라 해도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


온카888 

온카 


카지노커뮤니티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