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보조금 없이도 ‘수소차 1위’일까요?

아이리스 0 496 0 0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13일 오전 경기 용인시의 물 전기분해 시스템을 만드는 중소기업 지필로스를 방문해 장비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가 야심차게 제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1주년이 됐다. 지난해 세계에서 팔린 수소차 10대 중 6대는 현대자동차였다. 정부는 “수소경제 초기 기틀을 마련하는 성과를 냈다”고 자랑한다. 그러나 내막은 아직 부실하다. 사실상 한국 외에는 수소차 시장이 잘 커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성과 홍보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아직 부족한 수소 생산·저장·운송기술 등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차·일본 등서만 완성차 제조

국내 수요, 보조금 효과로 늘어나

수소트럭 등 수출 증가는 고무적

“자랑보다는 인프라 확충 고민을”


1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추진 1주년 성과’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0월 수소차 세계 판매량 6126대 중 59.8%인 3666대는 현대차가 차지했다. 일본 도요타가 2174대, 혼다는 286대였다. 이 기간 동안 국내 수소차 판매량은 3207대로 세계 판매량의 52.4%다. 정부는 “일본 등 경쟁국을 제치고 최초로 글로벌 판매 1위를 달성했다. 국내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수요를 창출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하지만 이는 뒤집어보면 수소차를 팔 시장이 한국밖에 별로 없었다는 의미다. 완성차업체 가운데 수소차를 양산하는 곳은 현대차와 도요타, 혼다뿐이다.

국내에서 수요가 폭증한 것도 사실 보조금 덕이다. 지난해 수소차를 산 소비자들은 정부와 지자체에서 약 3600만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차량 가격이 7500만원대인 현대 넥쏘 수소차를 3000만원에 살 수 있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해외 완성차업체들이 수소차를 못 만드는 게 아니라 안 만들고 있어서 한국이 세계 1위를 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교수는 “전기차 이후를 대비하고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수소차에도 투자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가 너무 ‘오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해외 수소차 시장이 커질지부터 미지수다. 주요 시장전망 기관들은 2030년 세계 수소차 판매량을 100만대, 전기차 판매량은 2000~3000만대 수준으로 예측한다.

수소충전소 인프라도 한국에서만 빠르게 늘고 있다. 정부가 입지 규제를 완화하는 등 팔을 걷어붙이자 국내 수소충전소는 2018년 14기에서 지난해 34기로 2배 이상 늘었다. 반면 수소 인프라 구축을 먼저 시작했던 일본은 같은 기간 동안 102곳에서 112곳으로, 독일은 66곳에서 81곳으로 소폭 늘었다. 미국에서는 수소충전소가 74곳에서 71곳으로 줄었다.

일부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수소차 누적 수출 대수는 2017년 709대에서 2018년 936대, 2019년 1724대로 꾸준히 성장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8월 스위스 수소에너지기업과 합작법인을 출범하고, 10t급 수소트럭 1600대를 공급하는 계약도 맺었다. 아직 부족한 수소 생산·운송·저장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정부는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남는 재생에너지 전력을 활용할 수 있는 ‘그린수소’를 만들기 위한 대규모 수전해 연구·개발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수소차가 승용차보다 트럭과 버스 등 중대형차에서 더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본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동차 시장이 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됐기 때문에 공급에만 치중할 게 아니라 소비자의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며 “모터쇼와 각종 전시회, 판매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홍보를 강화하는 등 저변을 넓혀나가야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