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제1노총 뺏긴 한노총…지도부 선거 `강대강`

비공개 0 248 0 0

김만재·김동명 후보 2파전
모두 `강한 한국노총` 공약

민노총과 주도권 경쟁으로
사회적 갈등 악화될 우려


오는 21일 국내 양대노총 중 하나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차기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전례 없는 '강대강' 대결이 예고됐다. 얼마 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밀려 '제1노총' 지위를 잃고 처음 열리는 선거판에 강성 후보 두 명이 등판해 똑같이 '강한 한국노총'을 부르짖고 있기 때문이다. 대화를 통한 실리를 강조해 온 기존 한국노총 지도부와는 결이 달라 누가 위원장 자리를 차지하든 현재의 사회적 대화는 퇴보할 것이란 우려가 팽배하다.

10일 한국노총 제27대 임원 선출을 위한 위원장·사무총장 후보자 합동연설회가 경기본부에서 열렸다. 이날 연설에서 기호 1번 김만재 위원장 후보는 "한국노총의 위상을 바로 세우기 위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도부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노조가 필요한 곳은 직접 찾는 실천을 통해 200만 조직화를 위해 거침없이 달려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호 2번 김동명 위원장 후보는 "한국노총의 근본적 위기는 조합원과 노동자의 신뢰를 잃은 것"이라며 "현장 신뢰 회복을 통한 당당한 한국노총, 힘센 한국노총, 강한 한국노총을 만들어 보겠다"고 밝혔다.

두 후보 모두 '강한 한국노총을 통한 조직 확대'를 제1호 공약으로 삼았다. 선거전에 나선 김만재(금속노련 위원장)-허권(사무총장 후보·금융노조 위원장) 조, 김동명(화학노련 위원장)-이동호(사무총장 후보·우정노조 위원장) 조 모두 노동계에서 강성으로 평가된다. 공약도 큰 차이가 없다.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와 맺은 정책협약 재검토, 국제노동기구(ILO) 핵심 협약의 조건 없는 비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제1노총 지위를 강성 노조인 민주노총에 빼앗기자 한국노총도 강성 기치를 표방해야 표를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두 후보는 현재 제조연대 공동대표다. 한국노총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차지하는 제조업 근로자의 표심을 양분한 상황이다. 제조연대 다음으로 큰 자동차·택시·해상·항운 근로자 위주의 운수물류노조총연합은 김동명 후보에게 다소 표심이 쏠려 있다. 러닝메이트인 이동호 사무총장 후보가 우정노조 위원장이기 때문이다. 다만 금융노조 위원장인 허권 사무총장 후보를 러닝메이트로 둔 김만재 후보는 금융노조 표가 만만치 않다는 분석이다.

이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선 누가 되든 민주노총의 노선을 어느 정도 따라갈 수밖에 없다. 민주노총이 제1노총으로 세를 불린 가장 큰 비결이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이다.

노동계 관계자는 "기존 정규직들은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들이 본인들과 동일 처우를 요구하는 걸 반대한다"며 "민주노총은 3~4명 정도의 소규모 비정규직 노조도 다 받아들이면서 세 불리기에 공을 쏟았다"고 말했다.

반면 대화로 실리를 추구하는 한국노총의 기본 노선은 바뀌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많다. 기존 정규직 노조원 중심이라는 얘기는 근로 환경 개선 등을 우선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내포하기 때문이다.

[김태준 기자 / 최현재 기자]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