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여객기격추 '치명타' 맞은 이란…대미항쟁 급격히 위축될 듯

비트팟 0 317 0 0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EPA=연합뉴스자료사진]

(테헤란=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이라크 주둔 미군 기지에 대한 대규모 미사일 공격으로 '대비 항전'의 기세를 올렸던 이란이 민간 여객기 격추라는 초대형 악재를 만났다.

이란 혁명수비대가 "적의 크루즈미사일로 오인했다. 미국이 일으킨 긴장 상황에 전시나 다름없었다"라고는 했지만 변명의 여지가 없는 이란으로서는 치명타를 맞은 셈이다.

미국과 이란은 지난해 말부터 '주고받기' 식으로 공방을 벌였다.

이라크 내 미군기지 로켓포 공격으로 미국인 1명 사망(12월27일), 미군의 이라크 친이란 시아파 기지 공습으로 25명 사망(12월29일), 바그다드 주재 미 대사관 난입(12월31일)이 이어졌다.

이후 수위는 더 높아져 이란 군부 거물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 미군에 폭사(1월3일), 이란의 이라크 내 미군 기지 2곳 미사일 공격(1월8일)이 뒤따랐다.

전쟁 일보 직전까지 갔던 미국과 이란의 긴장은 잘잘못을 따질 수 없는 사안이지만 미국에 다소 불리하게 국제 여론이 형성되는 분위기였다.

이라크전을 일으킨 조지 부시 전 대통령도 이란과 전면전을 우려해 접었던 '솔레이마니 살해'라는 카드를 선택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무리한 판단이 중동을 전쟁 위기로 몰아넣었다는 쪽으로 기울었다.

또 이런 위기의 직접적 원인이 2018년 5월 미국의 일방적인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파기였다는 다는 게 국제 여론의 흐름이었다.

그러나 이런 흐름이 순식간에 역전됐다.

8일 새벽 이란의 미사일 공격 와중에 176명이 탄 우크라이나 여객기가 추락했고, 이 원인이 혁명수비대의 방공 미사일이었다고 이란이 11일 시인하면서다.

아미르 알리 하지자데 혁명수비대 대공사령관은 11일 "전시나 다름없는 최고 수위의 경계태세였던 상황에서 적(미국)이 테헤란을 향해 발사한 크루즈미사일로 오인했다"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여객기 격추 소식을 들었을 때 죽고 싶었다. 나의 목은 머리카락보다 가늘어졌다. 모든 처분을 달게 받겠다"라며 책임을 전적으로 인정하고 통렬히 반성했다.

이란의 자존심이라고 할 수 있는 혁명수비대의 고위 장성이 공개 석상에서 이렇게 납작 엎드린 것은 사실상 처음이라고 할 만큼 이란도 이 사안을 매우 엄중한 위기로 받아들인다는 방증이다.

혁명수비대 대공방어사령부는 지난해 7월 이란 영공을 넘나든 미국의 첨단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를 자체 개발한 대공 방어 미사일 시스템 '세봄 호르다드'로 격추하면서 대내외에 위력을 과시했다.

이란의 대공 방어력을 의심했던 서방의 군사 전문가들도 당시 격추 사건에 매우 주목했다.

미국이나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격한다면 지상전 대신 전투기나 무인기, 미사일을 동원할 가능성이 큰 만큼 이란의 대공 방어력의 수준은 주요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혁명수비대는 글로벌 호크로 정밀성과 파괴력을 과시했지만 이번 여객기 오인 격추로 신뢰도가 땅에 떨어지게 됐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