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생존 위해 ‘보호색’ 선택한 약초 꽃…원인은 결국 인간

그래그래 0 252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생존을 위해서 스스로 색을 바꾸는 꽃의 존재가 확인돼 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중국 과학원과 영국 엑서터대 공동 연구진은 수천 년 동안 중국에서 전통약재로 활용돼 온 패모의 한 종류인 사사패모(학명 Fritillaria delavayi)의 생태를 연구했다.

사사패모는 중국 고산지대에 주로 서식하며, 폐를 윤택하게 해주는 한약재로 유명하다. 5년에 한 번씩 꽃 한 송이를 피워내며 매년 6월 수확한다. 2000년 이상 전통 중의학에서 사용돼 왔으나 최근 가격이 오르는 추세다.

5년 만에 초록색 꽃을 피우는 사사패모에게 가장 큰 천적은 다름 아닌 약재를 위해 꽃을 수확하는 사람들이다.

연구진은 꽃을 수확하려는 사람들이 더 많이 찾는 서식지에 자라는 꽃일수록 식물의 잎이 자라는 주변의 바위 색과 유사한 색으로 변화하는 보호색 능력이 발달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보호색 능력이 발달된 식물일수록 생존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는 해당 식물을 채취하려는 인간이 결국 이 식물이 주변과 유사한 색으로 위장하는 보호색 능력의 진화를 이끌어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이처럼 보호색 능력을 가진 식물들을 발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그렇지 않은 식물을 찾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린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진은 “우리가 연구해 온 다른 위장 식물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이 식물의 위장이 이를 먹는 초식동물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주변에서 이 식물을 위협하는 초식동물을 찾을 수 없었다”면서 “결과적으로 인간만이 이 식물을 위협하는 포식자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이 식물의 개체 수 및 다른 식물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채취가 쉬운지, 그리고 실제로 채취량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했다”면서 “이번 연구는 인류가 어떻게 야생 생물의 생존과 진화에 직접적이고 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게 했다”고 덧붙였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셀(Cell) 자매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최신호(20일자)에 실렸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