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되기도 어렵지만, 원치도 않는다...요즘 직장인의 변심
“임원이 되는 것도 어렵지만, 임원으로 머무는 게 더 어려워요. 괜히 임시직원(임원)이라고 하는 게 아니에요.” (유통기업 A부장)
연말 인사시즌을 맞아 직장가가 술렁이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실적 타격, 변화에 대한 절박함 등이 더해져 대기업 그룹사들을 중심으로 어느 해보다 과감한 인사가 이뤄지는 중이다.
인사의 하이라이트는 ‘기업의 별’이라 불리는 임원 승진이다. 하지만 직장인들 사이에서 임원 승진 열기는 과거만큼 뜨겁지 않다. 경쟁률이 갈수록 ‘하늘의 별따기’인데다 직장인들이 중시하는 가치도 몇 년 새 크게 변했기 때문이다.
올해 주요 그룹 임원인사의 키워드는 ‘세대교체’와 ‘신상필벌’로 요약된다. LG그룹이 지난 26일 발표한 신규 임원 중 45세 이하는 전체 124명 가운데 24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1980년대생 임원 3명을 비롯해 신규 임원 가운데 1970년 이후 출생 비중은 지난해 57%에서 올해 70%로 크게 높아졌다.
롯데그룹 역시 새롭게 대표 자리에 오른 13명 중 6명이 50대다. 앞서 현대홈쇼핑·현대백화점면세점·현대L&C 등도 대표이사를 60년대생으로 세대교체했다. 이 밖에 컨설팅 기업 출신 등 외부인사의 임원 영입, 여성 임원 증가도 눈에 띈다.
국내 5대 대기업 계열사에 근무하는 19년 차 이 모 부장(팀장)의 경우 동기 30명 중 벌써 4명이 임원을 달았다. 반면 아직 팀장이 안 된 사람도 5명이나 된다. 이 부장은 “(임원 승진이)너무 빨라지다 보니 포기하는 사람도 많아졌다”고 말했다.
나이와 성별, 순혈주의 문턱은 낮아졌지만 임원으로 가는 문 자체는 좁아지는 추세다. 롯데그룹만 해도 전체 임원 승진자 수를 지난해 대비 80% 수준으로 줄였고, 신세계그룹 이마트 부문도 100명이 넘던 임원을 10%가량 줄였다.
글로벌 헤드헌팅 업체 유니코써치가 2020년 반기보고서를 기준으로 100대 기업 현황을 분석해 보니 임원은 6578명으로 전체 직원 84만7442명 중 0.77%에 불과했다. 100대 기업 임원 1명 당 직원 수는 2011년 105.2명에서 매년 늘어 올해는 역대 가장 많은 128.8명을 기록했다. 대기업에서 임원 될 확률이 갈수록 낮아지는 셈이다.
LG그룹 계열사의 공채 출신인 B씨는 “예전엔 공채 남성 임원이 절대적으로 많았다면 이제 외부인사·여성 직원 등과도 경쟁해야 해 갈수록 (임원 되기가)힘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임원이 되면 권한과 연봉은 크게 상승한다. 국내 15대 그룹 계열사 C씨는 “부장 연봉이 1억 정도라면 첫 임원은 1억5000만원 정도다. 하지만 할인과 무료이용 등 각종 혜택과 성과급 등을 포함하면 실제론 2배 이상 연봉 상승”이라고 했다.
문제는 ‘꽃의 수명’이다. 임원이 되면 정년을 보장받는 정규직원에서 계약직으로 지위가 바뀌는 게 대부분이다. 지금까지는 상무·전무 등 직급별로 2~3년의 임기를 채우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1~2년 만에 짐을 싸는 사례도 늘고 있다.
대기업 박 모 부장은 “임원은 임시직원이라는 별칭처럼 법적으론 1년 계약직”이라며 “심지어 너무 정치적이거나 욕망이 과하거나 속썩일만하다 싶으면 빨리 임원을 시켜서 1년 만에 내보내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임원 승진에 ‘올인’ 하는 직장인들이 점점 줄고 있다. 제조기업 부장 정모(49)씨는 “결혼이 늦어서 아이들이 둘 다 초등학생이다. 학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서라도 언제 잘릴지 모르는 임원보다 안정적으로 직장을 다니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맞벌이 부부 김지은(가명·42)씨도 현실적이다. 그는 “남편과 나 중 임원이 된다 해도 애들을 키우면서 임원을 유지하고 계속 승진하려면 내조든 외조든 누구 한명의 희생이 필요하다”며 “둘이 부장급으로 벌면서 오래 가는 게 훨씬 낫다”고 말했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도 큰 영향을 미친다. 삼성전자 직원 D씨는 “회사 임원이 토요일 일요일을 제대로 쉬는 걸 본 적이 없다. 토요일은 출근해 밀린 업무 하고 일요일은 늘 대기상태인데 오후 4시에만 퇴근해도 베스트라고 한다”며 “연봉이 높아도 저렇게 살 자신이 없다”고 했다.
실제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직장인 10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임원이 되려고 준비 중’이라는 답은 전체의 34.7%에 그쳤다. 현재 직장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를 묻는 질문에도 ‘직급 상관없이 정년까지 보장받는 안정적인 직장생활’이 24.4%로 1위를 차지했다.
일각에선 안정성 제일주의로 가는 사내 분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에너지 기업의 한 임원은 “요즘 직원들을 보면 책임지려 하지 않고 힘든 일은 피하려 한다. 지나치게 계산적”이라며 “힘들어도 도전하고 승부를 던져보려는 동료들에게까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기업들도 인사와 직원교육에 있어 실질적인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인사·조직 분야 전문가인 박원우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는 “평생직장 개념이 옅어진 시대에 직원들에게 일률적으로 최고 수준의 열정과 희생을 요구할 수는 없다”며 “일찍부터 임원과 비임원으로 진로를 선택하는 것도 달라진 직장·조직 상황에 적응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직원들에게 성과에 따른 보상을 확실히 보장하는 한편, 지금 일하며 얻은 지식과 경험을 다음 직장이나 창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동기부여를 주는 쪽으로 인재육성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