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화웨이, 중저가 스마트폰 접는다

비공개 0 524 0 0


서브 브랜드 ‘아너’ 매각 추진
미국 제재로 반도체 수급 곤란
프리미엄 제품에 집중하기로

화웨이의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 ‘아너’.

미국의 제재로 궁지에 몰린 화웨이가 중저가 스마트폰 사업을 접는다. 반도체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에만 사업을 집중해 제재를 견디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스마트폰 사업에서 물량 기준으로 삼성전자와 세계 1·2위를 다투던 경쟁도 사실상 포기한 셈이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은 화웨이가 중저가 스마트폰 브랜드인 ‘아너’를 중국 업체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각 가격은 250억 위안(약 4조원)이며, 아너의 유통사인 디지털차이나그룹이나 TCL·샤오미 등이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아너는 화웨이의 서브 브랜드로 주로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실용적인 제품을 선보여왔다. 연구개발과 부품조달은 물론 판매 유통망까지 화웨이 브랜드와는 별도로 조직돼있어 매각이 수월한 구조다.

화웨이가 아너를 내놓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미국의 제재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반도체칩 수급이 어려워진 상태다. 업계 전문가인 궈밍치 TF인터내셔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결정은 화웨이와 아너 모두에게 윈-윈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너가 화웨이로부터 독립할 경우 부품 구매에서 더이상 미국의 금지 대상이 아니다. 화웨이로서도 프리미엄 제품에만 집중하면서 버틸 시간을 벌게 된다. 화웨이는 최근 트위터에서 “22일에 하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메이트40을 공개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 제품에는 화웨이가 자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인 기린칩이 탑재된다. 미국 제재로 기린칩 생산은 현재 막힌 상태지만 비축분을 활용했다.

이러다 보니 업계에서는 메이트40의 판매가 주로 중국에서만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화웨이도 믿는 구석이 있다. 중국인들의 ‘애국소비’다. 현재 중국 스마트폰시장은 화웨이가 전체의 절반가량인 46%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비보(16%), 오포(16%), 샤오미(10%)가 잇는 구조다.

다만 아너를 덜고 몸이 가벼워진 화웨이도 체급이 떨어지는 것은 감수해야 한다.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싸움에서 빅3(삼성·화웨이·애플) 구도는 여전히 유지될 전망이다. 그러나 지난해 2억4000만 대를 판매하며 1위 삼성전자(2억9510만 대)를 턱밑까지 쫓았던 상황은 다시 오기 힘들게 됐다. 올 2분기에 화웨이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5580만 대인데, 이중 4분의1 가량인 1460만 대가 아너 제품이었다.

장주영 기자 jang.jooyoung@joongang.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