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코넥스→코스닥 갈아탔지만 주가 시원찮네…문제는 시황

비공개 0 314 0 0


올해 이전 상장 10곳 중 8곳 현주가 공모가 대비 폭삭
그린플러스·리메드만 선방…수급 불안에 中企 투심 ‘꽁꽁’
“코스닥업체 실적 회복해야 반등…산업·정책 수혜株 주목”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올해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옮겨온 상장사들의 주가가 시원찮다. 벤처기업과 중소기업들이 더 큰 물에서 자금조달과 수익성 개선, 사세 확장을 위해 이른 바 ‘점프’를 했지만 시장 평가는 냉정했다. 전문가들은 연초 대비 시장 상황이 악화돼 투심이 얼어붙고 있는데다 차익실현 기회 감소 등으로 수급에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 코스닥 연초대비 6% 하락 영향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들 총 10곳(피흡수합병 제외)이다. 해당 업체는 지노믹트리(228760)(3월)를 비롯해 수젠텍(253840)(5월), 줌인터넷(239340)(6월), 포인트엔지니어링(256630)(7월), 그린플러스(186230)(8월), 알로이스(297570)(10월), 미디어젠(279600)(11월), 자비스(254120)(11월), 한국비엔씨(256840)(12월), 리메드(302550)(12월)다. 이가운데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합병으로 시장을 옮긴 곳은 줌인터넷과 포인트엔지니어링, 알로이스, 자비스, 한국비엔씨 등 5곳이다. 아이엘사이언스와 소프트캠프는 각각 오는 27일과 30일 코스닥에 입성할 예정이며 노브메타파마는 연내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코스닥 이전 상장사 10곳중 공모가대비 현재 주가(6일 종가기준)가 오른 곳은 그린플러스와 리메드 두 곳뿐이다. 하지만 그린플러스도 이전 상장 후 주가는 급락했고 이후 횡보장세를 보이다가 현재 공모가 대비 7.00% 올라 있는 상황이다. 지난 6일 상장한 리메드도 공모가 대비 3.46% 오른 채 거래를 마쳤다.

전문가들은 시장 상황의 영향이 크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이전상장도 상장인 만큼 시장 상황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면서 “유독 코넥스 출신 기업들만 빠지면 다른 이유를 찾아봐야겠지만, 비상장 상태에서 상장한 다른 회사들도 공모가 대비 현주가가 주춤하면 대부분 시장 탓으로 봐야한다”고 말했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수석연구원은 “올해는 지수자체가 계속 하락해 코스닥지수는 연초 대비 7% 가까이 빠졌다”면서 “시장 자체가 전반적으로 하락세에 있는 영향 때문에 이전 상장사들의 주가도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스닥 지수는 연초(지난 1월 2일 669.37)보다 6일 현재 6.17% 하락한 628.10을 기록 중이다. 이때문인지 올해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업체들의 주가도 시원찮다.

올해 코스닥 신규 상장(이전상장 제외)한 업체는 스팩 포함 총 77곳으로 이중 42.9%에 해당하는 33곳이 공모가마저 밑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하반기 폭락장 때보다 올해 초에는 상대적으로 주식시장이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나 하반기 들어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 재부각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수급적인 문제로 인해 코스닥 상장사들이 주가 부진의 늪에 빠져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백준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넥스에서 이전한 업체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들도 공모가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수급적인 요인도 있다”며 “코스닥 벤처펀드가 조성 초기보다 줄어있고, 중소형주(株)에 대한 투자심리 자체가 예전보다 더 떨어진 영향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요즘엔 코넥스시장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에 대한 투자가 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밸류에이션 자체가 상장 전부터 높아지며 상장 후 발생하는 추가적인 차익이 예전만큼 나오지 않는 영향도 있다”고 강조했다.

◇ 실적 따라 옥석 가리기 필요

일각에서는 코넥스시장에 상장했던 업체들의 아킬레스건인 실적이 잡히지 않는다는 점도 수급의 발목을 잡았다고 평가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제대로 된 실적이 나오는 회사들은 보통 코넥스시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코스닥에 상장하지만, 일반 제조업이 아닌 의료, 소프트웨어 등의 분야는 실적을 잡기 어렵다보니 코넥스를 거쳐 간다”면서 “즉, 코넥스시장은 이전 상장을 위해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는 것도 관련 업체들의 주가에는 안 좋은 영향을 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이전 상장한 10곳 중 6곳이 손실 기업이다. 상장 전부터 영업흑자를 유지하고 있었던 기업은 포인트엔지니어링, 그린플러스, 알로이스, 리메드 등 4곳 뿐이다.

전문가들은 코넥스에서 이전한 기업들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도 투심이 위축되고 시황이 안 좋은 만큼 일단 펀더멘털(실적)이 있는 회사들 위주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유망 산업이나 정부 정책의 수혜가 예상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도 시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백 연구원은 “코스닥 상장 후에 실적이 좋아야 투자자들이 이익 개선에 대한 신뢰도를 가지고 투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부진해도 유망 산업과 관련된 업체에 대해서는 또 다른 시각이 적용되고 있다”며 “예컨대 지난 7월 코스닥에 상장한 세경하이테크(148150)의 경우 폴더블 관련주로 부각되면서 주가가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세경하이테크의 현재 주가는 공모가(1만7500원) 대비 122% 상승한 3만8850원을 기록 중이다. 올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전체 기업 중 공모가 대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최 연구원도 기본적으로 실적이 뒷받침되는 곳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예컨대 온실사업을 영위해 온 그린플러스의 경우 실적(작년 영업이익 51억원)은 물론 스마트팜 사업과 관련, 정부 지원 아래 연내 발주가 이뤄질 것”이라며 “또 지난 10월 우리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의 개발도상국 지위를 포기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해 국내 농업을 살리기 위한 정책들이 계속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태진 (tjpark@edaily.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