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흰 바탕화면 시대 끝?…IT기기 '다크모드' 열풍

보헤미안 0 246 0 0

눈 피로도 줄이고 배터리 절약
삼성·애플 기기 '다크모드' 적용
네이버·카카오톡도 속속 도입

다크모드를 도입한 삼성전자 '갤럭시폴드'.


‘다크모드’가 정보기술(IT)업계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다크모드는 배경색을 어둡게 하고 글자를 밝게 한 사용자환경(UI) 디자인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삼성 등 주요 IT기업이 어두운 배경을 자사 서비스에 속속 적용하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흰색 바탕이 기본이었던 디지털 화면 디자인에서 다크모드가 또 다른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다크모드는 어두운 환경에서 눈부심을 줄인다는 목적으로 일부 기업이 시범적으로 서비스해왔다. 바탕의 밝은색을 검은색으로 바꾸면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불필요한 영역의 밝기를 줄여줄 수 있다. 다크모드가 ‘야간모드’로도 불린 이유다. 최근에는 밝은 곳에서도 다크모드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이 기능이 눈 피로를 줄여준다는 얘기가 사용자 사이에 퍼지면서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세계 ‘삼성 멤버스’ 회원 1만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다크모드는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2위(32%)에 올랐다.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도 다크모드 사용자 확대의 배경 중 하나다.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화면을 장착한 디지털 기기는 다크모드를 썼을 때 배터리를 아낄 수 있다. 기존 LCD(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검은색을 표현할 때도 백라이트가 항상 켜져 있기 때문에 다크모드를 적용해도 전력 소모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OLED는 개발 소자가 자체 발광하는 방식이라 검은색을 표현할 때는 해당 영역의 소자가 꺼진다. 그만큼 전력 소모량이 줄어든다는 얘기다.


배터리 사용 시간에 민감한 IT기업들은 이 같은 이유로 다크모드를 자체 UI나 운영체제(OS)에 앞다퉈 적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8년 ‘원 UI’를 공개하며 다크모드를 처음 선보였다. 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앱의 종류를 꾸준히 늘리고 있다. 애플도 2018년 맥 OS ‘모하비’에 다크모드를 처음 도입했다. 지난해엔 모바일 OSiOS13’에 이 기능을 넣었다. 구글과 MS도 안드로이드 OS와 윈도에 다크모드를 기본 기능으로 적용했다.

다크모드가 UI 디자인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으면서 웹페이지, 모바일 앱 개발사도 이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다크모드 지원 여부가 사용자의 서비스 선호도를 좌우한다는 판단에서다. OS가 다크모드를 지원해도 앱과 웹페이지가 이를 지원하지 않으면 이 기능을 온전히 쓸 수 없다.

최근 페이스북은 다크모드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5월 웹페이지에서 다크모드 기능을 선보인 데 이어 최근에는 앱에 적용하기 위한 시험 작업에 들어갔다. 네이버는 ‘웨일 브라우저’ 및 포털 메인 화면에 이 기능을 적용했다. 카카오톡도 지난해부터 다크모드 테마를 지원하고 있다.

디자인 인력이 부족한 기업들은 다크모드 적용을 고심하고 있다. 흰색을 기본으로 설계된 화면 디자인을 이 기능에 최적화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흰색 화면을 전제로 한 글자와 콘텐츠는 바탕이 어두워졌을 때 눈에 안 띄는 경우가 많아 일일이 세부적으로 수정해야 한다”며 “다크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가 높다는 것을 알지만 이런 문제 때문에 개발 여부를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