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국내 첫 확인 어린이 다기관염증증후군 미국·유럽서 다수 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사례 2건이 5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가운데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는 이미 코로나19가 유행한 올해 상반기부터 다수의 사례가 보고된 것으로 파악됐다.

소아·청소년 다기관 염증 증후군 감시 체계 (PG)
[김토일 제작] 일러스트


질병관리청의 '국외 보고사례'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올해 5월부터 9월까지 총 935명이 이 증후군 환자로 보고됐고, 이 가운데 19명이 사망했다.

미국 환자는 대부분 1∼14세로, 평균 연령은 8세였다. 성별로는 남아가 55%·여아가 45%였다.

프랑스의 경우 올해 3월부터 5월까지 총 79명이 이 증후군으로 진단을 받았고, 이 가운데 1명이 숨졌다. 프랑스 환자는 대부분 5∼11세의 미성년자였고, 이 가운데 67%는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다.

영국에서는 올해 4월부터 5월까지 78명이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으로 판정받았는데 이 중 2명이 사망했다. 영국 환자는 대부분 8∼14세이고, 환자 가운데 46%는 기계호흡 치료를 받았다.

이와 별개로 질병청이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발행된 35개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자료를 보면 전 세계적으로 783명이 이 증후군으로 진단됐고, 이중 12명이 사망했다.

783명의 평균 연령은 8.6세이고, 남아가 56%를 차지했다. 환자의 68%는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다.

지역별로는 국내 2건을 제외하고 일본이나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보고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

한편 질병청에 따르면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은 보통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2∼4주 뒤에 발병한다.

연령대를 보면 3개월에서 20세까지 환자가 보고되고 있으며 주요 증상은 발열을 비롯해 복통, 설사, 구토 등 소화기계 증상과 함께 발진 등이 나타난다.

발생빈도는 코로나19 감염 소아 중 0.016%∼0.31% 정도로 드물게 나타나며, 일부 환자의 경우 심장 및 호흡기계 치료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 만19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38도 이상의 발열이 24시간 이상 지속하고 ▲ 검사에서 염증 증거가 있고 ▲ (염증이) 심장, 신장, 폐, 혈액, 위장관, 피부, 신경계 중 두 개 이상의 장기를 침범한 중증 상태이면서 ▲ 염증을 일으킨 병원체가 확인되지 않아야 하고 ▲ 코로나19 감염 증거나 노출력이 확인되는 5가지 항목을 모두 충족해야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으로 진단한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