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사두면 돈 된다더니…" 믿었던 金의 배신

보헤미안 0 229 0 0

금본위제 폐지 50년…위기의 금투자

금값 올들어 8.8% 하락…S&P500 20%, 집값 7.8% 상승
美 금리인상 가능성·암호화폐 확산으로 투자매력 떨어져

11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트로이온스(31.1g)당 1734달러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13%가량 하락한 가격이다. 이날 한국금거래소 종로 본점에 골드바와 황금거북이, 황금돼지 등이 진열돼 있다. /허문찬 기자



금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원자재 수요가 급증하면서 물가가 치솟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은 이례적으로 가격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안전자산으로 활용하기엔 금의 가격 변동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트코인 등 금을 대체할 경쟁 자산도 늘었다. 1971년 금본위제가 무너진 지 50년이 된 올해 금이 유례없이 초라한 여름을 보내고 있다는 평가다.

올 들어 금 가격과 S&P500지수, 10년 만기 국채, 집값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금이 가치가 가장 크게 하락한 투자 수단으로 꼽혔다. 11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물 금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1734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초(1902달러)에 비해 8.8% 하락했다.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3700.65에서 4436.7520% 뛰었다. 미국 대표 집값 지수인 S&P케이스-실러지수는 7.8% 상승했고 국채 지수는 3% 하락했다.

기간을 늘려보면 투자 수단으로서 금 수익률은 더 초라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S&P500지수가 네 배 오르는 동안 금 가격은 유일하게 떨어졌다. 같은 기간 미 10년 만기 국채 지수는 21%, 집값은 80% 상승했다.

물가가 올라 화폐 가치가 하락해도 금을 매입하면 고정된 자산가치를 지킬 수 있다. 1971년 8월 15일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더 이상 달러를 금으로 바꿔주지 않겠다”며 금본위제 폐지를 선언한 뒤에도 금이 계속 많은 사람의 투자 수단으로 사랑받아온 배경이다.

코로나19 위기에서 회복하면서 물가 급등세가 이어지는 데다 각국 정부가 저금리를 유지하는 상황에 금값이 하락하자 이례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전망은 엇갈린다. 미국을 비롯해 경기 부양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푼 각국 정부가 기준금리를 올리면 금 가치는 더 하락할 것이란 예상이 많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확산하면서 금의 투자 매력이 갈수록 떨어질 것이란 의견도 적지 않다.

하지만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데다 금값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반등할 것이란 반론도 있다. 이지현 기자

美 주식 295%·부동산 80% 뛸때…금투자 10년 수익률 -0.02%
금융위기 이후 초저금리 지속…안전자산 매력 떨어져

-8.8% vs 20%.’

올해 들어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금(金) 가격과 미국 S&P500지수 변동폭이다. 하락세인 금과 비교하면 주식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위험에서 벗어난 미국 경기가 반등하며 기업들이 잇따라 어닝서프라이즈를 발표한 게 주가 상승 동력으로 꼽힌다. 경기가 살아나면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의 가치가 떨어지는 건 타당한 흐름처럼 보인다.

하지만 최근의 금 가격 하락은 예사롭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세계 각국에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지만 중앙은행들이 경기 부양을 위해 낮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서다. 물가가 뛰고 금리가 낮아지면 안전자산 수요는 늘어난다. 금의 이런 역할마저 희미해졌다. 암호화폐 등 다양한 가치저장용 투자 수단이 등장해 금의 지위를 흔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물가 상승에도 떨어지는 금값


코로나19 유행으로 움츠렸던 세계 경제가 회복하면서 각국의 물가상승률은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의 올 6월 생산자물가(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 올라 201011월 통계를 작성한 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중국의 지난달 PPI도 전년 동기 대비 9% 뛰었다. 올해 중국 PPI는 5월 9%로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6월 8.8%로 하락했다가 다시 반등한 것이다.

‘고물가·저금리’ 상황이 지속되고 있지만 금 가격은 요지부동이다. 오히려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조만간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다. 금리가 올라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통상 금 가치는 떨어진다. 각국 정부가 긴축에 들어갈 게 뻔하기 때문에 금 가격 상승 여력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금은 장기 수익률도 초라하다. 최근 10년간 S&P500295%, 집값이 80%, 10년 만기 미 국채 지수가 21% 오르는 동안 금 가격은 0.02% 하락했다.

‘금=안전자산’ 공식 깨졌다

물가와 금 가격의 상관관계가 무너진 데 대해 금이 이미 안전자산 지위를 잃어버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안전자산 가치를 지키려면 변동성을 낮게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최근 50년간 소비자물가지수 대비 금 가격은 1~8.4로 널뛰기를 했다. 금을 대체투자수단으로 활용하기엔 가격이 너무 올랐다는 평가도 있다. 캠벨 하비 듀크대 교수는 “지난 50년간 소비자물가지수 대비 금 가격은 평균 3.6 정도였지만 최근의 금 가격은 이보다 두 배에 달하는 6.5”라며 “물가 상승 위험을 분산하기엔 금이 너무 비싸다”고 했다.

금 투자를 위험 분산 포트폴리오로 활용하는 것이 여전히 유효한지 의문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보도했다. 주가가 내려가면 금값이 오르는 이른바 ‘음’의 상관관계가 점차 사라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2~3S&P500지수가 34% 폭락하던 때 금 투자 상품 가격은 39% 떨어졌다. 코로나19로 전례없이 불확실성이 커지자 모든 투자 수요가 얼어붙은 탓이다. 지난해 말 각국에 돈이 넘쳐나자 금과 주가는 함께 고공행진을 했다. 넘치는 유동성에 다양한 투자처로 돈이 몰린 것이다.

그래도 금은 지위 지킬 것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등장하면서 금이 가치저장 수단 지위를 독점하던 시대가 지났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금의 아성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세계 중앙은행과 ‘큰손’ 투자자가 여전히 금에 신뢰를 보내고 있어서다. 금 시장 조사기관인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각국 중앙은행은 지난해보다 63% 많은 333t의 금을 사들였다.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경쟁자 암호화폐가 극심한 가격 변동성으로 신뢰를 잃어가는 것도 금의 지위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란 예상이다. JP모간은 지난 5월 보고서에서 자산가들이 비트코인을 버리고 금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