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햄버거병' 논란에 피멍든 맥도날드…가족 합의·주방 공개로 신뢰 회복할까(종합)

비공개 0 374 0 0

맥도날드, '햄버거병' 가족과 합의…"치료전념"
최근 불거진 위생논란에 주방공개로 맞대응…브랜드 신뢰도 회복 가능할까


[아시아경제 최신혜 기자]지난 2년 간 맥도날드의 브랜드 신뢰도에 큰 타격을 줬던 '햄버거병 사태'가 일단락됐다. 최근 일부 매장의 비위생적 식자재 관리로 다시 햄버거병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피해자 가족과 합의하면서 소모전을 끝내기로 한 것.

특히 한국맥도날드는 최근 불거진 위생 논란에 조주연 사장을 중심으로 대응팀을 꾸리고 주방 공개로 강력대응에 나선 이후 피해자 가족과 합의한 만큼 향후 실추된 브랜드 이미지와 1만5000명 임직원들의 명예를 회복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맥도날드는 12일 용혈성요독증후군(HUSㆍ햄버거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의 치료와 건강회복을 위해 상호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국맥도날드와 용혈성요독증후군 어린이의 어머니는 어린이의 건강회복을 위해 인도적인 차원에서 지원 논의를 해 왔으며, 그 결과 전일 법원 주재 조정 하에 양 당사자의 성실한 노력의 결과로 양 측 간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양 측은 향후 상호 입장을 대변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제 3의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해서 더 이상 일체 관여하지 않고 어린이의 치료에만 전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후 해당 사안에 대해 더 이상의 논쟁을 종결키로 했다고 부연했다.

또한 지난 2년간 논쟁과 공방으로 인해 정신적, 물질적 고통을 받은 어린이와 그 가족, 한국맥도날드의 임직원들에 대해 상호 유감을 표명했다.

사건 발생 이후, 한국맥도날드는 해당 사안에 대한 법적 책임 유무와 관계없이 인도적 차원에서 어린이의 건강회복만큼은 돕겠다는 뜻으로 어머니 측과 대화를 시도해 왔다. 아울러 지금까지 발생한 어린이의 치료금액은 물론, 앞으로 어린이가 치료와 수술을 받는데 필요한 제반 의료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어머니 측은 한국맥도날드의 어린이에 대한 의료비 지원에 대하여 감사를 표명했으며, 한국맥도날드는 어린이 및 그 가족들이 입은 상처에 대해 깊은 위로를 보냈다.

한국맥도날드는 높은 수준의 식품 안전 기준에 맞춰 최상의 메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매진하는 한편, 고객의 목소리를 더욱 경청하고 필요한 개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햄버거병 사태는 2016년 9월 4세 아동이 맥도날드 해피밀 제품을 먹고 '용혈성요독증후군(HUSㆍ햄버거병)'을 앓았다며 이듬해 한국맥도날드를 고소한 사건이다.

2016년 A양은 경기 평택시 한 맥도날드 매장에서 '불고기 버거'를 사먹은 뒤 HUS에 걸려 신장장애 2급 판정을 받았다. A양 측은 당시 '덜 익은 패티'를 발병 원인으로 지목해 2017년 7월 식품안전법 위반 등 혐의로 한국맥도날드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가 수사를 벌인 끝에 지난해 2월 한국맥도날드를 불기소 처분했다. 패티 납품업체 맥키코리아 임직원 3명은 축산물위생관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다만 이 업체는 A양 사건과 직접 관련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달 17일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맥도날드 햄버거병 사건 관련 의혹을 제기한 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가 같은달 29일 재수사에 나섰다.

A양의 HUS 관련 한국맥도날드는 지난해 2월 서울지검으로부터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장염 등 비슷한 증상을 주장한 어린이 4명(남매 포함) 사건도 무혐의로 종결됐다. A양 어머니만 이에 불복해 서울고등검찰에 항고, 서울고등법원에 재정 신청을 각각 제기했다. 하지만 모두 같은 이유로 기각됐다.

법원 판결로 수면 아래로 내려갔던 햄버거병 사태는 이달 초 일부 언론에서 내부 직원 제보라며 보도한 덜 익은 패티가 들어간 햄버거, 거미줄이 붙어있는 조리실 냉장고 등의 사진 등을 보도해 위생논란이 확산되면서 재부각됐다.

이와 관련, 조 대표는 반복되는 위생 관련 논란에 경찰에 정식수사를 의뢰해서라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으며 대응팀도 꾸렸다. 조 대표는 앞서 임직원에게 이메일을 보내 "회사와 임직원 여러분의 정신적ㆍ물질적 피해를 더는 간과할 수 없는 바 해당 사안을 경찰에 정식 수사 의뢰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최신혜 기자 ssin@asiae.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