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힌남노, 6일 오전 상륙…지난달 집중호우 때와 비슷한 폭우

북기기 0 226 0 0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강도가 '강'인 상태에서 6일 오전 9시 부산 남서쪽 70㎞ 부근으로 상륙하리라 예상된다.

기상청은 3일 오전 10시 예보와 오전 11시 브리핑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상륙 시점 힌남노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50hPa(헥토파스칼)과 43㎧일 것으로 추정된다.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주변 공기를 빨아들이는 힘이 강해 세력이 센 것인데 950hPa이면 1959년 '사라'나 2003년 '매미'가 상륙했을 때 중심기압 최저치(951.5hPa와 954.0hPa)보다 낮은 것이다.
 

AKR20220903020551530_02_i_P4_20220903122609600.jpg?type=w647

3일 오전 10시 기상청 제11호 태풍 힌남노 예상 경로.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힌남노 현위치는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390㎞ 해상이다.

현재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940hPa와 47㎧로 발생지에서 현재 위치로 이동할 때보다 세력이 다소 약화했다. 대만 남동쪽 해상에서 정체하면서 '용승효과'로 스스로 세력을 약화시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힌남노는 정체를 마치고 북진을 시작했다고 평가된다.

이동속도는 시속 8㎞로 사람이 빠르게 걷는 수준이다.

힌남노는 5일 오전 북위 30도선을 넘으면서 이동 방향을 북동진 쪽으로 틀어 이날 오전 9시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80㎞ 해상에 이르고 이후 북동진을 거듭해 국내에 상륙할 전망이다.

제주는 6일 새벽에, 경남해안은 6일 아침과 오전 사이 힌남노가 가장 가까이 지나가리라 예상된다.

'북진하다가 북동진해 우리나라 쪽으로 온다'라는 전망은 각국 기상청과 여러 수치예보모델들이 공통되게 하고 있다.

다만 수치예보모델 간, 특정 수치예보모델이 내놓은 여러 예상경로 간 편차가 우리나라를 덮을 정도로 넓다. 북동진 후 힌남노 경로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줄 북태평양고기압 확장 정도에 대한 예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