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도마뱀 같은 피부를 가진 '육식 황소' 공룡 카르노타우루스

그래그래 0 224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카르노타우루스의 최신 복원도

화석으로 남는 것은 대부분 뼈나 껍데기 같은 단단한 부분이다. 공룡 역시 예외가 아니라서 부드러운 조직은 금방 썩어 없어지고 단단한 뼈만 광물화되어 화석으로 발견된다. 사실 골격이라도 거의 온전하게 보존되면 상당히 보존 상태가 좋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가끔 내부 장기와 피부가 썩지 않고 같이 광물화되어 영겁의 세월을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덕분에 과학자들은 일부 공룡이 깃털을 지니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공룡과 조류가 하나의 뿌리에서 나왔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모든 공룡이 깃털을 지녔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오가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생각보다 많은 공룡이 깃털을 지녔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과학자들은 대형 공룡이 깃털 없이도 체온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물론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매우 드물게 보존되는 공룡 피부 화석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최근 벨기에와 호주의 고생물학자들은 1984년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카르노타우루스(Carnotaurus)의 피부 화석을 자세히 분석했다. 육식 황소라는 뜻의 카르노타우루스는 몸길이 7~9m의 중대형 육식 공룡으로 보기 드물게 피부 화석이 남아 있다. 연구팀은 카르노타우루스의 어깨, 가슴, 꼬리, 목 부분에 보존된 피부 화석을 분석해 살아있을 때 형태를 최대한 복원했다.

그 결과 카르노타우루스의 몸 어디에도 깃털이 존재했던 흔적은 찾을 수 없었다. 대신 카르노타우루스의 피부에는 큰 돌기 같은 구조물과 그 주변의 복잡한 비늘 구조가 존재했다. 뉴 잉글랜드 대학 공룡 피부 전문가인 필 벨 박사는 그 형태가 현존 생물 가운데 호주 도깨비 도마뱀(thorny devil lizard)과 가장 유사하다고 보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복원한 카르노타우루스의 최신 복원도에는 깃털이 없어 오히려 전통적인 공룡 복원도와 유사한 느낌을 준다. 연구팀은 뾰족한 돌기와 비늘이 있는 피부가 현생 도마뱀처럼 체온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깃털 공룡과 마찬가지로 카르노타우루스의 도마뱀 피부 역시 환경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다. 깃털이 공룡에서 얼마나 흔했는지는 여전히 논쟁거리지만, 깃털을 지니지 않은 수각류 육식 공룡의 존재는 공룡이 우리의 생각 이상으로 다양하게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