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물가 0%… 하락세는 멈췄다

비공개 0 312 0 0

10월 상승률 사실상 오름세 전환
농축수산물 내리고 외식 올라
저물가 여전해 디플레 논란 계속
지난 8월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가 3개월 만에 사실상 오름세로 전환됐다. 이로써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줄었다. 통계당국은 당분간 물가 마이너스는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0%대'의 저물가 흐름은 여전하고, 정부가 내놓은 '공급 측 요인에 따른 물가하락'에 대해 국회 예산정책처,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수요부진을 꼽고 있어 디플레이션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05.46(2015년 100)으로 1년 전보다 0.0% 상승했다. 소수점 한자릿수까지 공식 상승률은 변동없지만, 소수점 세자릿수까지 따지면 플러스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8월 사상 첫 마이너스 물가상승률을 기록한 뒤 3개월 만의 오름세다.

지난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 대비 0.038%(소수점 세자리) 하락해 사상 처음으로 사실상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소수점 한자릿수까지만 따지는 공식 상승률은 0.0%다. 지난 9월에는 0.4% 하락하면서 1965년 관련통계 집계 이후 공식적으로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장기간 1%를 밑돈 것은 2015년 2∼11월(10개월) 이후 처음이다. 품목별로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3.8%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31%포인트 끌어내렸다. 사과(-15.8%), 토마토(-26.5%), 파(-29.5%) 등의 가격이 하락했다. 반면 배추(66.0%)와 열무(88.6%) 등은 폭등했다.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0.3%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12%포인트 내렸다. 가공식품은 2.2% 올랐지만, 석유제품은 7.8% 감소했다. 전기·수도·가스 가격은 1.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06%포인트 견인했다. 서비스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이 중 집세(0.2%)와 공공서비스(1.0%)는 각각 하락했다. 외식이 1.3% 상승하는 등 개인서비스는 0.09% 올랐다.

계절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8% 올랐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중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3%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간 비교가능한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6% 상승했다.

통계청은 KDI가 최근 저물가 원인으로 수요측 요인을 지목한 것과 관련, 상반된 분석을 내놨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최근 저물가 흐름이 기후여건에 따른 기저효과와 정책요인으로 인한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등이 주요인이라는 점은 변함없다"며 "서비스나 공업제품 상승률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수요부진이 원인인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