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 '신중년'이 보는 노인 기준은?…'70∼75세 미만'이 최다
현재 50∼69세에 해당하는 '신중년'의 절반 이상은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75세 미만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녀가 결혼할 때까지 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답변은 이전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최신호에 실린 '신중년의 노후 인식 실태와 시사점'(김경래 부연구위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설문조사 결과 신중년층의 52.6%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75세 미만'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75∼80세 미만'(20.8%), '65∼70세 미만'(15.7%), '65세 미만'(2.4%) 순이었다.
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5060세대 4천6명을 대상으로 '신중년 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 조사'를 실시한 결과로, 김 부연구위원은 이를 토대로 신중년층이 노후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또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를 보고서로 정리했다.
일반적으로 노인의 기준을 '65세'로 보는 경우가 많지만, 신중년층이 바라보는 기준은 이보다 높은 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초연금, 국민연금, 장기요양보험, 지하철 경로 우대 등 주요 복지 제도가 65세를 기준으로 운용되고 있다.
노인의 연령 기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조사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노인 연령 기준도 조금 더 높게 보는 점이 눈에 띄었다.
예를 들어 50∼54세 응답자의 55.3%는 연령 기준을 '70∼75세 미만'이라고 답했지만, 65∼69세 연령층에서는 같은 답변이 44.3%로 적은 편이었다. 반면 '75∼80세 미만'이라는 응답은 65∼69세 연령층(25.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노인 연령 기준을 더 높게 응답하는 경향이 확인된다"며 "연령이 높아지면서 자신이 노인에 속하지 않기를 바라는 욕구가 표현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분석했다.
노년기 진입을 앞둔 만큼 5060 신중년은 자녀 부양에 대한 고민도 큰 편이다.
자녀에 대한 '적정 부양 기간'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은 데 대해 신중년의 31.5%는 '결혼할 때까지'라고 답했다. 또 '학업을 마칠 때까지'라는 답변은 31.0%, '직장이 생길 때까지'라는 답변은 30.2%로 나타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성년이 되는 만 19세까지가 적정 부양 기간이라 여기는 응답자는 4.5%뿐이었다.
다만 과거에 비해서는 자녀 부양을 끝내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경향이 확인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50대가 생각하는 자녀 부양 완료 시기(2010년, 2019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앞서 2010년에 실시된 '중년층의 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50대의 경우 자녀 부양 완료 시기를 '결혼'이라고 꼽은 응답자 비율이 46.0%에서 29.7%로 낮아졌다.
반면 '학업을 마칠 때까지'라고 답한 비중은 2010년 3.1%에서 2019년 32.8%로 9년 새 10배 이상 높아졌다.
보고서는 "신중년 집단 내에서 자녀 부양의 적정 기간이 결혼에서 학업 종료로 단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학업 연장, 만혼화 등의 사회 환경 변화가 전통적인 자녀 부양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신중년 세대는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다.
최근 관심사로 '본인의 건강'을 꼽은 신중년은 조사 대상의 36.3%로 나타났다. 3명 중 1명꼴로 본인의 건강을 1순위로 생각하고 있는 셈이다. 이어 노후 준비(18.5%), 자녀 결혼(15.3%), 생계비 마련(9.0%), 자녀의 취업(7.5%) 등의 순이었다.
보고서는 "사회 환경 변화, 기대여명 연장 등에 따라 50대를 포함한 신중년의 노후 인식·태도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며 향후 노인 연령, 일자리, 노후 준비 등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