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평균 연봉 4520만 원' 서울 제친 국내 연봉 1위 도시는?

보헤미안 0 256 0 0

"지역 소멸 위기…국토 불균형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0005101166_001_20220609220002541.jpg?type=w647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지역에 따라 근로자 1인당 평균 총급여액(연간 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뺀 값)이 1000만원 이상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과 서울, 울산을 제외한 나머지 14개 시도는 1인당 총급여액이 4000만원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주소지 기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지역은 공무원·공공기관 종사자가 많은 행정도시 세종(4520만원)이었다.

두 번째로 높은 서울은 4380만원으로, 전국 평균(3830만원)보다 550만원 많았다. 제조업 도시인 울산(4340만원)이 3위를 기록했다.

1인당 총급여액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3270만원)였다. 뒤를 이어 전북(3400만원), 인천(3410만원), 강원(3440만원), 대구(3500만원), 부산(3520만원), 경북(3560만원), 경남·충북(각각 3580만원), 전남·광주(각각 3590만원), 대전(3710만원), 충남(3730만원), 경기(3890만원) 등이었다.

2020년 과세 대상 근로소득 7463168억원 가운데 4234516억원이 서울·경기·인천에서 발생했다. 근로소득의 수도권 집중도(56.7%)는 전년(56.4%)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서울 거주자의 총급여액(1695768억원)은 강원(178269억원)의 9.5배 수준이다.

김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수도권에서는 전쟁 같은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토 불균형의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다.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지역 본사제를 추진하고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