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인터뷰] 북-미 ‘만남의 장소’ 스웨덴, 어떻게 협상 촉진자 됐나

streem 0 473 0 0

주한 스웨덴 대사 야콥 할그렌

“북-미 대화 결실 위한 핵심은

‘첫번째 공’ 던질 수 있는 배짱

신뢰 통해 ‘반응의 선순환’ 이어져”

“25년 전부터 평양 스웨덴대사관에

북-미 연락사무소 위한 공간 마련”

“과거 비핵화 경험 있는 스웨덴

북 원한다면 기꺼이 기술적 도움

제재 지지하되 인도적 지원은 지속”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방 국가로서 가장 먼저 평양에 ‘대사관’을 연 나라, 50년 전 ‘비핵화’의 길을 선택한 나라, 제재 속에서도 ‘인도주의 원칙’에 충실한 나라. 스웨덴이다.

지난 4∼5일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북-미 실무협상 대표단이 마주 앉았다. 비핵화 프로세스를 본격 가동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기록될 스톡홀름 실무협상 성사 배경에 스웨덴이라는 ‘촉진자’(facilitator)가 있었던 사실은 더이상 비밀이 아니다. 지난 1월 남·북·미 스톡홀름 회동을 주선하고 이번 실무협상 때도 북-미가 협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장소를 마련해줬다. 스웨덴이 어떻게 남·북·미가 모두 인정하는 ‘촉진자’가 될 수 있었는지 야콥 할그렌 주한 스웨덴 대사를 만나 들어봤다.

지난해 9월 대사로 부임하기 직전까지 스웨덴 스톡홀롬국제평화연구소(SIPRI) 부소장 등을 지내며 분쟁 중재는 물론 안보, 군축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온 할그렌 대사는 현재 이어지는 북-미 대화가 결실을 내기 위한 핵심 요소로 ‘신뢰’를 꼽았다. 그는 “북-미 모두 신뢰가 너무 부족한 상태”라며 “누군가는 ‘첫번째 공’을 던질 수 있는 신뢰와 배짱이 있어야 한다. 그러고 나면 상대방은 반응을 할 것이고, 이게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할그렌 대사는 “중재자가 아닌 ‘촉진자’라는 표현을 써 달라”며 스웨덴 정부의 역할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해 당사자들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취지다. 당사자를 위한 ‘배려’로도 읽힌다.

인터뷰는 서울 중구 대사관 집무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됐다. 할그렌 대사는 스웨덴 외무부에서 인도지원정책 및 분쟁이슈과 국장을 역임했고, 보스니아, 제네바에서도 근무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웨덴 정부가 북-미 대화 촉진에 상당히 적극적이다.

“스웨덴은 북-미 간 갈등이 세계 평화를 위협한다고 생각한다. 한반도 평화를 촉진하기 위해 ‘가장자리’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스웨덴은 한반도와 특별한 인연이 있다. 한국 전쟁 직후 부산에 의료 인력을 7년 동안 파견했다. 1973년 서구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북한과 수교했고, 75년 평양에 대사관을 설치했다. 현재까지 미국 등 여러 나라의 영사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판문점에는 스위스와 함께 유엔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일원으로 나가 있다. 한반도 문제의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는 아니지만, 오히려 그런 위치 덕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특히 2017년 가을엔 스웨덴 정부가 한반도 특사를 임명했다. 켄트 해슈테트 대사다. 그는 북-미를 비롯해 이해 당사자들과 긴밀한 접촉을 하고 있다. 지난 1월에 이어 지난 주말에 스톡홀름에서 열린 북-미 실무협상은 이런 역사적 상황과 장기간의 관여 정책의 결과다. 다만 전면에 나서서 스웨덴을 홍보하려고 할 생각은 없다. 당사자들이 필요로 할 때 도움을 주고 싶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