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육군 병력 2022년까지 9만9000명 감축

streem 0 386 0 0
한국일보

서욱 육군참모총장 및 육군 참모들이 11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 육군 국정감사에 앞서 선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육군 병력이 현재 46만4,000명에서 2022년 36만5,000명 수준으로 감축된다. 급격한 인구 감소에 따른 조치로, 군은 병력 보강 대비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육군은 11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발표한 ‘국방개혁 2.0 정책 추진 현황 보고’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올 해 2만명 감축에 이어 3년간 9만9,000명을 줄이겠다는 복안이다.

군은 부대 구조 개편을 병행할 방침이다. 2022년까지 군단 2개를 줄여 6개로 축소하고, 2025년까지는 사단 5개를 정리해 33개만 남긴다. 군은 “미래 전장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부대로 변화시키겠다”고 설명했다.

전투력 약화를 막기 위한 인력 구조 개편도 단행된다. 군인은 전투임무 중심으로, 군무원 등 민간 인력은 비전투임무 중심으로 구조를 바꾸고, 핵심 군사 능력 전력화 시기를 조정할 방침이다. 육군은 이미 사단정찰용 무인항공기(UAV), 한국형 기동헬기, 차륜형 장갑차, 대포병탐지레이더-Ⅱ등 필수전력의 전력화를 추진 중으로, 79개 부대개편 필수전력의 전력화 진도율은 52% 수준이다.

병사 개인이 최상의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투복ㆍ장구ㆍ장비를 개선하는 ‘워리어 플랫폼’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전세를 뒤집을 정도의 위력을 가졌다고 평가되는 차세대 ‘게임 체인저’(드론봇ㆍ미사일ㆍ기동군단ㆍ특임여단)은 2030년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근거리에서 날아드는 소형 드론을 제압할 수 있는 소형 트럭 크기의 ‘레이저 대공무기’를 2023년까지 개발하고, 소형 전술차량 등에 탑재해 원거리 폭발물을 탐색ㆍ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 폭발물 처리기’도 장기적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올해 6월 북한 소형 목선의 강원 삼척항 입항 사건으로 허점이 드러난 해안 경계 역량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해안 복합감시체계 성능을 개량하고, 기동형 통합감시장비ㆍ해안감시레이더-Ⅱㆍ육경정(육군경비정) 대체 전력을 전력화하는 방안 등이 2021년 이후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