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하위 324만명 근로소득 합쳐야 상위 1만8000명과 비슷

비공개 0 311 0 0

ㆍ민주당 김정우 의원 분석
ㆍ상위 0.1% 연평균 소득 8억871만원…중위 소득자 214만원의 ‘31배’
ㆍ상위 1%·하위 10% 격차 108.7배…“소득주도성장 정책 유지해야”

그래픽 | 엄희삼 기자

2017년 근로소득 상위 0.1%에 해당한 1만8000명의 근로소득 총액이 하위 17%에 속한 324만명의 전체 근로소득과 비슷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와 하위 10%의 평균 근로소득 격차가 커지는 등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2017년 귀속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로소득 상위 0.1%의 총근로소득(14조5609억원)은 하위 17%의 전체 근로소득(15조492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2017년 상위 0.1%에 해당하는 1만8005명이 벌어들인 근로소득이 하위 17%에 속하는 324만997명이 일해서 번 돈과 맞먹은 셈이다.

상위 0.1% 근로소득자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8억871만원이다. 월평균으로 환산하면 6739만원꼴로 중위소득자(전체 근로소득 순위에서 한가운데에 있는 근로소득자) 월평균 근로소득(214만원)의 31배 수준이었다. 근로소득세를 사실상 면제받은 근로소득 하위 22% 구간 414만1273명의 전체 근로소득은 25조9910억원이었다.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627만6090원에 불과했다.

근로소득 상위 1%와 하위 10%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다. 국회 기재위 소속 민주당 심기준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상위 1%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2017년 2억6417만원으로 하위 10% 평균 근로소득(243만원)의 108.7배다. 이 격차는 2013년 119.7배에서 2016년 105.1배로 감소했다가 2017년 들어 커졌다.

2017년 상위 1%의 전체 근로소득액은 47조5652억원으로 전체 근로소득(633조6117억원)의 7.51%를 차지했다. 해당 비율은 2013년(7.31%)에서 2015년(7.24%)까지 줄어들다가 2016년(7.26%)부터 증가했다. 하위 10%의 근로소득이 전체에서 차지한 비율은 2013년(0.61%)부터 2016년(0.69%)까지 늘었지만 2017년(0.69%)은 제자리걸음이었다.

김정우 의원은 “국민이 실제 체감하는 소득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양극화를 해소하고 내수경제 선순환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