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화성 그놈’ 6차 사건 때 유력 범인 지목… 혈액형·발자국 달라 수사선상서 제외

슬퍼용 0 319 0 0


최근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된 이모(56)씨가 32년 전 화성 6차 사건의 유력 범인으로 꼽혔던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경찰은 혈액형과 발자국이 다르다며 이씨를 수사선상에서 제외했다.

25일 경찰에 따르면 화성 범인을 추적하던 경찰은 1987년 5월 9일 화성시 태안읍 진안리 한 야산에서 발생한 6차 사건의 유력 범인으로 이씨를 지목했다. 주부 박모(당시 29세)씨를 성폭행하고 살해했다는 것이다. 이씨에 대한 주민 진술 등 첩보가 주요 단서였다. 경찰은 이씨를 불러 조사한 뒤 지휘부에 “유력한 용의자로 보이는 인물이 있다”고 보고까지 했다.

하지만 이씨는 며칠 후 수사선상에서 제외됐다. 6차 사건 이전에 확보한 증거물에서 나온 용의자의 혈액형과 이씨의 혈액형과 발자국이 달라서다. 당시 과학수사 기술로는 6차 사건 현장에서 나온 체액에서 DNA를 검출해 분석하는 기술도 도입되기 전이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약 4년 뒤에야 DNA 분석 기술을 수사에 처음 도입했다. 1991년 8월 화성 사건 마지막 10차 사건이 발생한 지 4개월이 지난 뒤다.

6차 사건 당시에는 혈흔을 분석해 혈액형을 파악하는 정도의 기술만 수사에 활용됐다. 당시 경찰이 추정한 용의자의 혈액형은 B형이었지만, 이씨는 O형이었다.

다만 이씨가 경찰조사를 받은 뒤 화성 범죄는 한동안 잠잠했다. 1차 사건부터 6차 사건까지는 짧게는 이틀, 길게는 4개월의 짧은 시간을 두고 범행이 이뤄졌었는데 7차 사건은 6차 사건 이후 1년4개월 만에야 발생했다. 이씨가 자신을 향한 수사망이 걷힐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범행에 나선 것일 수 있다.

이후 경찰은 8차·10차 사건이 일어났을 때도 이씨를 불러 조사했다. 하지만 이씨는 수사선상에서 번번이 빠져나갔다. 이씨는 10차 사건 이후 2년9개월이 지난 1994년 1월 처제를 성폭행하고 살해한 혐의로 검거됐다.

화성사건 수사에 참여했던 하승균(73) 전 총경 등 전·현직 경찰관들은 대부분 이씨를 기억하지 못했다. 끝내 범인이 잡히지 않으면서 화성 사건은 한국 강력범죄사상 최악의 장기미제사건으로 남았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