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연일 1천명대 확진 속 위중증 환자 급증…'병상대란' 우려 고조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1천명씩 늘어나면서 '병상 대란'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당장 입원할 수 있는 중증환자 치료 병상은 전국 573개 가운데 48개, 비율로는 8.4%뿐이다.

병상 숫자로만 보면 전날(45개)보다 3개 더 늘어났지만, 확진자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병상 여력이 넉넉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날 기준으로 위중증 환자를 즉시 치료할 수 있는 가용 병상은 서울 8개, 경기 4개, 인천 1개 등 13개이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병상 확충에 주력하는 가운데 전날(4개)보다 쓸 수 있는 병상은 9개 늘었지만, 지역별로는 한 자릿수에 그쳐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비수도권 병상 역시 급증하는 환자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특히 이날 0시 기준으로 103명의 확진자가 무더기로 쏟아져 나온 충북에서는 중환자를 치료할 병상이 당장 하나도 없는 상황이다. 대전, 전북, 전남 등도 병상이 부족하긴 마찬가지이다.

중증 단계에서 상태가 호전됐거나 혹은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있는 '준-중환자'용 치료 병상은 현재 12개만 남아있다.

이런 상황에서 위중증 환자는 좀처럼 줄지 않은 채 연일 최다 기록을 바꾸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 2일(101명) 100명 선을 넘어선 이후 빠르게 증가하며 지난 15일에는 205명까지 치솟았다. 이후 226명→242명→246명→275명 등으로 갈수록 악화하는 상황이다.

성북구청 앞 코로나19 임시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를 반영하듯 코로나19 치료를 받다 숨지거나 사후 확진된 사망자 역시 지난 15일부터 이날까지 닷새 연속(13명→12명→22명→11명→14명)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이번 3차 대유행으로 인한 '병상 대란'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관측이 나온다.

평소 지병(기저질환)을 앓고 있거나 고령층인 '고위험군' 환자는 특히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이미 자택에서 입원 치료를 기다리며 대기하다 사망하는 사례까지 발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이 전날 배포한 '코로나19 격리병상 입원, 전원 대기 중 사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으로 자택에서 격리병상 입원을 대기하거나 요양병원에서 격리병상 전원을 대기하던 중 사망한 환자는 총 8명이다.

올해 2∼3월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당시 숨진 2명을 제외한 6명은 이달 들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택에서 입원 대기 중 숨진 1명의 경우, 서울 동대문구에 거주하던 60대 확진자(서울 122번째 사망자)로 지난 12일 양성 판정을 받았지만 15일까지 병상을 배정받지 못한 채 사망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자료 배포 4시간여 만에 "대기 중 사망 통계 기준은 가택에서 사망했거나 입원 전 응급실에서 사망한 경우"라며 요양병원에서 격리병상 대기 중 사망한 사례 5건을 제외한다고 정정했다.

사실상 서울 지역 사망자 1명만 이번 3차 유행 이후 '병상 대기 중 사망'에 해당한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대유행이 우려된 상황에서 정부의 병상, 인력 준비가 미흡했다고 지적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일선 의료 현장에서는 중환자 병상을 늘리려고 해도 현실적 여건상 어렵다"면서 "확진자가 중증 상태로 가지 않도록 조기에 진단하고, 진료할 수 있는 체계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