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민주, 전국단위 선거 4연승…이제는 '정권재창출' 기세


2016년 총선·2017년 대선·2018년 지방선거 이어 총선 '과반' 압승할듯

"87년 직선제 후 첫 그랜드슬램"…'1당' 기반 국정과제 탄력받을듯

靑 영향력 유지될 듯…'친문' 구심력 강화 속 '비문' 원심력 표면화 가능성

코로나 경제 위기 대응·보수 진영 재정비 등이 향후 변수

출구조사 지켜보는 더불어민주당(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이낙연 상임공동선대위원장과 이인영 원내대표 등이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당 선거상황실에서 개표방송을 지켜보고 있다. 2020.4.15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차지연 기자 = 15일 오후 10시 현재 21대 총선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압승이 점쳐지면서 2016년 20대 총선과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4연승' 기록을 세우게 됐다.

오후 10시 현재 민주당은 지역구 253곳 중 150곳(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개표 36.1% 기준)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앞선 출구조사에서 나온 민주당의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의 비례대표 의석 예상치(16∼20석)을 합하면 민주당의 '단독 과반'(151석 이상)이 확실시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이번 총선까지 모든 종류의 전국 단위 선거에서 승리하는 민주당의 '트리플 크라운'이기도 하다.

이 같은 초반 개표 결과가 최종 개표 결과로 이어진다면 민주당이 2022년 '정권 재창출'을 위한 유리한 토대를 마련하게 된다. 민주당은 총선 승리를 통해 문재인 정부 임기 후반의 국정운영 동력을 유지하고 2022년 대선에서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에 이은 '민주정부 4기'를 출범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선거 국면에서 "총선에 승리해야 문재인 정부가 성공적으로 개혁을 완수할 수 있고 민주당이 재집권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진다"며 "무슨 일이 있어도 제1당이 돼야 한다"고 밝혀 왔다.

민주당이 시민당 의석을 합해 '단독 과반'을 하면 21대 국회에서 각종 법안·예산 처리뿐만 아니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검찰개혁, 대북정책, 탈원전 정책 등 국정과제가 탄력을 받게 된다.

민주당은 2016년 20대 총선에서 123석으로 당시 새누리당(현 미래통합당)을 1석 차로 이겼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러진 2017년 대선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당선으로 정권을 탈환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전국 광역단체장 17명 중 14명, 기초단체장 226명 중 151명, 광역의원 834명 중 653명, 기초의원 2천927명 중 1천638명을 배출하며 압승했다.

21대 총선 초반 개표 결과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포함해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2022년 대선으로 가는 과정에서 제1야당에 비해 일단 우위를 차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당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총선 승리는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래 대통령 권력, 지방 권력, 의회 권력까지 최초의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것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출구조사 결과 지켜본 후 이동하는 이낙연(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이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당 선거상황실에서 각 방송사가 발표한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본 뒤 상황실을 나서고 있다. 2020.4.15 yatoya@yna.co.kr

총선 승리에 따른 당내 세력 구도의 재편도 주목된다.

총선 결과가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적표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 후반기 당청 관계에서 청와대가 영향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당내 친문(친문재인) 진영의 '구심력'이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장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의 당권 경쟁과 내년 하반기 당내 대권 경쟁 구도에도 친문 진영의 입김이 세질 수 있다.

당 관계자는 "총선 승리는 문 대통령의 높은 국정 지지도에 힘입은 측면이 있으므로 바로 있을 전당대회 국면에 영향을 줄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당정 간 긴밀한 협력이 강조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다만 총선 전에는 공천 문제가 걸려 있어 당내 이견이 잘 표출되지 않았지만, 총선이 끝난 이후에는 당내 비문(비문재인)·소장파 그룹의 '원심력'이 표면화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그러나 대선까지는 2년이나 남은 만큼 '정권재창출'의 변수는 많다.

당장 정부·여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촉발한 전방위적 경제 위기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민심의 향방이 달라질 수 있다.

민주당이 '코로나 극복' 슬로건으로 치른 이번 총선 결과에는 정부·여당의 과거 행적에 대한 평가보다는 위기 극복이라는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투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긴급재난지원금 등 대국민 직접 지원 말고도 업종·직종별 타격, 고용률 하락 등에 따른 장기적인 대책을 어떻게 수립하느냐에 따라 향후 정부·여당에 대한 평가가 갈릴 것이란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이번 총선은 '코로나 선거'로서 코로나 방역과 경제 대응을 위한 정부 안정론에 힘이 실린 것"이라며 "향후 잘 대처하지 못하면 그에 대한 책임론이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통합당을 비롯한 범보수 진영이 총선 패배를 딛고 당 재정비에 성공하고 대안 정당으로서 면모를 갖춰나갈 경우 이 역시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