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미국서 백신 빌리는 '스와프' 가능할까…선례에도 변수 많아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미국과 '백신 스와프'를 협의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백신 스와프는 금융위기 때 미국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원화를 맡기고 달러를 빌려오는 '한미 통화 스와프'를 본떠 미국으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지원받고 한국이 나중에 갚는 개념이다.

정부는 당초 '백신 스와프'가 실현 가능성이 작다고 평가했는데, 최근 백신 도입이 지연되고 미국의 백신 상황에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한미 백신 스와프와 관련해 "지금 미국 측과 상당히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며 "지난주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 특사가 (한국에) 왔을 때도 이 문제에 관해 집중적으로 협의를 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이 지난해 12월 당 차원에서 정부에 제안했는데, 당초 정부는 검토 결과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정의용 장관은 지난 2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외교채널을 통해 미국, 영국 등을 접촉해본바, 잉여 물량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백신 기확보 고소득국이 아닌 백신을 확보하지 못한 개도국에 무상 기부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바 있다"고 밝혔다.

당시 더불어민주당도 미국의 코로나19 상황이 급박한데 백신을 달라고 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부정적이었다.

정의용 장관, 케리 미국 기후특사와 만찬
(서울=연합뉴스) 방한 중인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가 2021년 4월 17일 서울 외교장관 공관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의 안내를 받아 만찬에 앞서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그랬던 스와프를 지금 미국과 협의하는 이유는 당시보다 미국의 백신 상황에 여유가 생겼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은 성인의 절반 이상인 1억3천만명이 1회라도 코로나19 백신을 맞았고 3분의 1은 접종을 마치는 등 접종이 상당 수준 진행됐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5일 전 세계 백신 지원 업무를 담당할 백신외교 책임자를 임명하는 등 최근 미국은 백신 공급 확대를 위해 더 큰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미국이 실제 다른 국가에 백신을 스와프 형식으로 빌려준 사례도 있어 정부도 관심 있게 들여다보고 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3월 18일 브리핑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각 아스트라제네카 250만회분과 150만회분을 빌려주고 다시 백신으로 돌려받을 계획을 소개한 적이 있다.

정부는 미국이 계약한 백신 물량 중 한국보다 먼저 인도받는 물량을 한국으로 돌리고, 한국이 나중에 인도받는 물량으로 갚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예를 들어 미국은 7∼8월에 물량을 많이 주문한 게 있고 우리나라는 10월께 들어오는 게 있다고 하면 미국의 7∼8월분을 우리가 먼저 받고 그다음에 들어오는 것으로 돌려주면 된다"고 말했다.

한미 간 스와프가 이뤄진다면 아스트라제네카를 들여올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미국은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해서는 사용 승인을 하지 않고 비축만 하고 있다. 사키 대변인도 당시 브리핑에서 미국이 제공 가능한 아스트라제네카 총 분량을 7백만회(멕시코와 캐나다 지원분 포함)분이라고 밝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