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이창용 "아직 물가 안정될 것으로 안심하기 이르다

북기기 0 109 0 0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아직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라며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0005461045_001_20230411124101035.jpg?type=w647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출처: 한국은행)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고 밝힌 후 모두말씀을 통해 이 같이 설명했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이 총재는 성장세가 둔화되는 반면 물가상승세는 더디게 꺾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소비 부진이 다소 완화됐지만 수출이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하면서 1분기중 성장률은 소폭의 플러스로 전환되는 데 그칠 것”이라며 “올해 연간 성장률은 IT경기 부진 심화 등의 영향으로 2월 전망치(1.6%)를 소폭 하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반기까지는 부진한 성장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하반기 이후에는 IT경기 부진 완화와 중국 경제 회복 영향으로 점차 나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경제와 관련해선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로 금융부문 리스크가 증대되면서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미국과 유로지역은 2월까지는 당초 예상보다 양호한 회복 흐름을 보였지만 3월 들어서는 은행 부문 불안으로 금융안정 측면에서의 리스크가 커지고 고용 상황도 둔화 조짐을 나타내면서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에 대해선 “경제활동 재개 이후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되고 있지만 수출 부진은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물가에 대해선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분기에는 3%대로 낮아지고 연말에는 3% 수준을 나타내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연간으로는 지난 2월 전망치 3.5%에 대체로 부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근원물가 상승률에 대해선 “최근의 더딘 둔화 흐름을 고려할 때 2월 전망(3.0%) 경로를 다소 상회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향후 물가전망에는 산유국 감산에 따른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인상 시기와 폭 등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주요국의 근원물가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평가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높은 수준에서 점차 둔화되고 있지만 근원 인플레이션은 미국에선 더딘 둔화 흐름을 보이고 유로지역에선 계속 높아지는 등 경직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금리를 동결한 배경에 대해 “물가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요국에서 금융부문 리스크가 증대되는 등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금융안정 상황 그리고 여타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아직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라며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함께 국내외 금융부문 리스크,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운용, 중국 경기회복의 국내 경제 영향, 그간의 금리 인상 파급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정교하게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