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사해 주변 싱크홀 이제 몇천 개..대자연의 복수인가

그래그래 0 213 0 0


[서울신문 나우뉴스]

사해 주변 싱크홀 이제 몇천 개 달해…대자연의 복수인가

세계에서 가장 짠 호수인 사해가 접한 이스라엘 관광도시 엔게디. 스파 리조트 시설이 즐비한 전성기였던 1960년대에는 온천 수영장에서 땀을 흘린 관광객들이 그대로 짜디 짠 사해에 몸을 담글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 이 호수 기슭은 이른바 싱크홀로 불리는 함몰구멍 투성이가 됐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요르단에 걸쳐 있는 사해는 1960년대 이후로 지금까지 표면적의 3분의 1을 잃었다.

수면이 매년 약 1m씩 낮아지고 있어 남아 있는 것은 소금에 의해 하얗고 땅 꺼짐 현상에 의해 구멍 투성이가 된 달 표면 같은 경치뿐이다.

구멍은 깊이가 10m를 훌쩍 넘을 만큼 깊은 곳도 있는데 이들 구멍은 사해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사해에서는 물이 줄어들면 지하에 염분이 쌓이게 된다. 하지만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돌발성 홍수로 물이 지하로 스며들면서 퇴적물 속 소금 결정을 녹인다. 그러면 그 위 땅이 지지대를 잃어 무너지고 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 지질조사국의 이타이 가브리엘리 박사는 “이스라엘과 요르단 그리고 팔레스타인 자치구인 요르단강 서안에 걸쳐 펼쳐진 사해 연안에 생긴 함몰구멍의 수는 이제 몇천 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가브리엘리 박사에 따르면, 이런 함몰구멍은 사해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줄인 인간 정책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모두 농업과 식수를 위해 요르단 강물을 우회해 사용해 왔고 화학 기업들은 사해에서 미네랄을 추출해 왔기 때문이다.

거기에 기후 변화가 물의 증발을 더욱더 가속화했다는 것이다. 사해 남서쪽에 있는 이스라엘의 소돔에서는 지난 2019년 7월 지난 70여 년간 이 나라의 최고 기온인 섭씨 49.9도에 육박한 것으로 기록됐다.

그렇다면 사해는 완전히 증발할 운명인 것일까. 이에 대해 과학자들은 앞으로 적어도 100년 동안에는 수위 저하를 피할 수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해가 균형 상태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 호수면이 축소돼 물 속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증발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잦은 싱크홀 발생으로 폐쇄된 스파 리조트의 모습.

한때 엔게디에 있는 스파에서 일한 주민 앨리슨 론은 “우리는 이런 일이 일어나게 한 점을 부끄러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AFP 연합뉴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