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직원 평균연봉 1억 넘는데…SKT는 왜 '성과급 논란'에 휘말렸나

보헤미안 0 213 0 0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T타워 / 사진제공=SK텔레콤



지난해 코로나19 악재 속에서도 호실적을 낸 SK텔레콤이 뜻밖의 복병을 만났다. 성과급(IB·인센티브 보너스) 규모와 산정 기준 등을 두고 노동조합이 공개적으로 반발하면서다. 박정호 CEO(최고경영자)가 타운홀미팅 방식의 소통에 나섰고, 성과급과 별도인 300만 원 상당의 설 명절 포인트도 지급됐지만 노조는 투쟁을 예고하는 등 여전히 강경하다.

갈등 봉합 국면에 들어선 SK하이닉스처럼 성과급을 더 올려 주고 영업이익에 직접 연동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일각에선 반도체 호황 국면에 올라탄 SK하이닉스와 통신 본업 성장세가 더딘 SK텔레콤의 상황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게 무리라는 지적도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인다.



직원 평균연봉 1억 1600만원, 국내 ICT업계 1위



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SK텔레콤 직원의 평균 급여는 1억1600만 원 수준이다. 기본급과 성과급 복리후생비 등을 합한 것으로 금융회사를 제외한 매출액 상위 100대 대기업 중 5번째로 높았다. 통신업계 경쟁사인 KT(8500만 원), LG유플러스(8000만 원)를 훨씬 상회한다. 국내 ICT 업계에서 단연 1위다. 경쟁사는 물론 계열사들도 SK텔레콤의 처우를 부러워 한다.

SK텔레콤의 급여 수준이 높은 건 설 명절 연휴 전 지급되는 성과급 덕분이다. 인사 고과와 직급별로 다르긴 하지만 통상 수천만 원에 이른다고 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최고 고과를 연이어 받으면 연봉만큼 성과급이 나올 수도 있다"고 했다. 노조는 성과급 기준이 깜깜이라며 천차만별인 성과급 편차도 문제 삼는다.

SK텔레콤의 성과급은 경제적 부가가치(EVA·Economic Value Added)를 기준으로 초과분의 일부가 재원을 활용된다. EVA는 영업이익에서 법인세와 이자·주주 배당금 등 자본비용을 뺀 순수이익을 말한다. 따라서 영업이익이 나도 EVA가 마이너스일 수 있다. 이 경우 나눌 이익이 없어 성과급 자체가 무의미해진다. 노조는 정확한 산정 기준과 총액을 공개하라는 입장이다.

핵심성과지표(KPI) 등급도 성과급 규모를 결정하는 핵심 변인중 하나다. 그룹 계열사별로 실적과 주가 등을 따져 성과 평가 등급이 매겨진다. 지난해 SK텔레콤은 전년보다 21.8% 늘어난 1조3493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수익성은 크게 개선됐지만 주가는 시원찮았다. 지난해 한 때 16만원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25만원 대로 올라오긴 했으나 전년 S등급이던 KPI가 지난해 A등급으로 밀렸다고 한다.



기업가치·성과 연동 추진...일각선 제조사와 업태 달라 비판도



박정호 SKT 사장이 4일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2021SK ICT 패밀리 신년인사회'에서 신년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 사진제공=외부


SK텔레콤이 '구성원 주주 참여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도 이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기업가치 제고와 성과를 연동하기 위해 현금과 자사주를 섞어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주가가 오르면 자사주를 성과급으로 받은 직원들의 자산 가치가 올라간다. KPI 등급도 덩달아 높아져 성과급 규모가 늘어난다.

문제는 지난해 KPI 등급 하향으로 최근 지급된 성과급 규모가 전체적으로 줄었다는 점이다. 노조가 주주 참여 프로그램으로 지급받은 주식을 기준으로 "올해 성과급이 작년보다 평균 20% 가량 줄었다"며 문제삼은 것도 이때문이다.

노조의 요구는 크게 3가지다. △올해 성과급 규모 재고 △현행 EVA 방식 성과급 지급 기준 개편 △성과급 차등 지원폭 축소 등이다. SK하이닉스 노사의 최근 합의(우리사주 지급+영업이익 연동)처럼 성과급을 더 얹어주고, 영업이익과 연계하는 체계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에선 공정과 투명·실리를 중시하는 'MZ세대'가 경제 활동 인구의 주축으로 떠오른 만큼 성과 보상의 투명성 확보 필요성엔 공감하는 분위기다. 다만 SK하이닉스와 SK텔레콤의 상황을 액면 비교하는 게 무리라는 시각도 많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호황에 지난해 5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냈다. 이익 규모가 SK텔레콤의 4배에 육박한다. 올해 반도체 수퍼 사이클에 진입할 것이란 기대감도 높다. SK텔레콤은 반면, 본업인 통신업 성장 정체의 틈을 새 성장 동력 사업으로 메꿔야 하는 상황이다. 통신요금 인하 압박도 어느 때보다 거세다.

노조 요구 사항의 합리성과 정당성을 별개로 하더라도 이번 논란 자체가 "딴 나라 얘기 같다"는 푸념도 들린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를 비롯한 국민 대다수가 힘든데 1억 원 넘게 연봉을 받는 여러 대기업에서 성과급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서다. 통신업계에서도 "박탈감을 느낀다"는 반응이 나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