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확진자 300명 넘었는데…위기경보 격상 안 하는 이유는?

비공개 0 210 0 0


[머니투데이 이영민 기자][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이 1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방안과 유학생 보호관리방안, 요양병원 및 간병인 전수조사방안 등을 브리핑 하고 있다. 2020.02.17. ppkjm@newsis.com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확진 환자가 22일 346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보건당국은 감염병 위기경보를 '심각'으로 격상하지 않겠다는 뜻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했다. 현재 코로나19는 지역사회 감염전파 초기 단계일 뿐 아직 전국적 확산 단계는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위기경보 '경계' 단계 유지…해외 유입·초기확산 통제 중요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부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현 시기를 코로나19의 해외 유입이라는 위험요인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부터 지역사회 감염전파가 시작된 '초기단계'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의 해외 유입을 검역단계에서 차단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라며 "확진환자에 대해서도 모두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접촉자를 격리해 초기확산을 통제하는 방역망 구축이 여전히 효과적인 시기라고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 단계로 유지하기로 했다. 코로나19의 해외 유입 차단과 초기확산 통제 대응이 중요한 시기라는 판단이다. 김 부본부장은 "추가 확산 방지가 아직 굉장히 중요한 시기"라며 "외국으로부터 들어오는 검역도 아직은 철저하게 보다 강화된 지금의 수준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또 보건당국은 위기경보를 격상할 경우 심각 단계의 대응전략 특성상 실익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심각 단계는 이미 환자들이 넓게 전파된 상태이기 때문에 확산 방지보다 환자 조기 치료에 인력을 더 투입하게 된다.

김 부본부장은 "방역은 한정된 인원과 시설과 장비를 갖고 하는 전투이기 때문에 인력과 장비를 어디에 더 투입할지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며 "심각 단계에서는 이미 국내 환자가 매우 많은 상황으로 해외 위험요인 유입을 추가로 차단하는 노력을 계속할 경우 실익이 떨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감염병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상향된 적은 지난 2009년 신종플루 감염병 확산 때가 유일하다. 당시 정부는 검역을 일상적 수준으로 축소하고 개별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중단했다. 대신 조기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뒀다.
지난 21일 오후 대구의료원을 찾은 코로나19 의심 환자들이 검사를 위해 줄지어 기다리고 있다./사진=김휘선 기자 


대구·경북 특별관리지역…다른 지역 통상적 관리 가능한 상황


보건당국은 위기경보를 격상하지 않는 대신 대구·경북지역을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관리한다.

김 부본부장은 "이날 전국적으로 좀 더 많은 환자들이 나타났으나 대구와 경북의 특별관리지역을 제외하고는 아직은 산발적인 상황"이라며 "현재까지 대구와 경북 외 지역은 통상적인, 일반적인 관리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구와 청도를 중심으로 한 집단적 발생지역과 시설에 대해 심각 수준에서 취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실시한다.

이영민 기자 letswin@mt.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