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열층이라 불리는 고층아파트, 근데 극단적 선택 왜 많나
최근 "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자살 확률이 저층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은다. 국내·외 학계에선 1970년대부터 “고층 주거 환경이 정신 건강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해왔다.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가 지난달 낸 논문 ‘고층아파트의 저층과 고층의 자살률 비교 연구’ 결과다.
김 교수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A시 내 아파트 15만8916가구의 자살률(10만명 당 자살자 수)을 전수 조사했다. 그 결과 고층(6층 이상)의 자살률이 저층(1~5층)보다 10%가량 높았다.
소득 수준이 자살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 일반 아파트와 임대 아파트로 구분하면 임대 아파트의 자살률 변화가 두드러졌다. 고층 자살률이 저층보다 60%가량 컸다.
고층의 자살률이 높은 이유는 지상과 떨어져 있는 데서 오는 사회적 교류 감소, 고립감 때문으로 추론됐다.
다만 일반 아파트의 경우 고층의 자살률은 저층보다 1% 정도 높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왜일까. 한국의 사회적 특수성이 반영됐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반 아파트에서 고층은 이른바 ‘로열층’으로 분류돼 거주자에게 자부심을 주고, 이는 고립감 등 부정적 영향을 상쇄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김 교수는 “소득 취약 계층일수록 고층 주거 환경의 악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임대 아파트 공급 시 저층·고밀형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건축학계뿐만 아니라 의학계에서도 고층 주거 환경이 자살률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높은 고도에선 가벼운 저산소증이 뇌에 영향을 미쳐 자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홍현주 한림대 성심병원 정신의학과 교수는 “청소년 자살의 경우 투신 비율이 높은데 고층에 살면 접근성이 증가해 자살률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고층에 사는 사람은 불안 증세, 우울증, 공격적 성향 등을 보일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상당하다. 고층일수록 이웃과 교류가 적고 남을 도와주려는 경향이 감소한다는 주장도 있다.
고층의 단점은 정신적 측면만 있는 게 아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고층일수록 지상과 떨어져 있어 피난과 화재진압이 어렵다”고 말했다. 새집증후군의 경우 고층에선 기온이 높아 유해 물질을 더 많이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건설업계에서는 “아직 고층 주택의 폐해가 완벽히 증명되지 않았다”면서도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은 “건설사들은 그동안 집을 지을 때 얼마나 튼튼하게 지을지, 어떻게 공간 활용을 할지에만 집중해온 경향이 있다”며 “앞으로는 거주자의 건강과 안전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고층의 장점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좋은 전망과 풍부한 일조량, 사생활 보호, 낮은 소음, 낮은 범죄율 등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고층이 건강 등 측면에서 나쁠 수 있지만 이를 감수할 수 있을 정도로 장점이 많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가 고층을 선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 실장은 “서울 도심 등에선 공급 가능한 땅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수요가 많기 때문에 고층화가 불가피하다”고 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