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정부, 수도권 '강화된 방역관리 체계' 무기한 연장

모스코스 0 351 0 0

정부가 오는 14일까지 적용중인 강화된 '방역관리체계' 시행을 무기한 연장 하기로 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12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2주간 등교수업을 재개하면서 학교내 집단감염 차단 목표는 달성했으나, 지금 상황이 더 악화되면 등교수업도 차질을 생길 가능성이 있다"며 "수도권 지자체와 협의해 현재 강화된 방역관리체계를 연장하고 추가적인 방역강화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능후 1차장은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학업과 생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수도권에 집중된 연쇄감염 고리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며 "종료기한을 두지 않고 수도권 환자 발생추이가 한 자릿수로 줄어들때까지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수도권은 지난 5월6일 이태원 클럽발 첫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부천시 쿠팡 물류센터와 서울 관악구 방문판매업체 리치웨이 등 여러 집단감염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 5월29일부터 수도권에 한해 방역관리를 강화해왔다. 이를 위해 노래연습장이나 유흥주점 등 고위험시설 8종에 대한 집합제한이나 운영 중단을 권고했고 전자출입명부도입(QR코드)을 위무화했다.

또 정부 및 각 지자체는 수도권 소재 8000여개의 공공시설 운영을 중단하고, 급하지 않은 공공행사도 모두 미뤘다. 관계 부처와 지자체 합동으로 취약한 사업장과 영업소의 방역 상황을 매일 점검하고, 수도권 주민들에게는 모임이나 약속 등을 취소하고 다중 이용시설 사용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박능후 1차장은 "이러한 방역노력과 당국의 추적으로 대규모 확산 진행은 막고 있지만 추적속도가 확산속도를 충분히 따라잡지 못해 환자 발생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다"며 "기존 조치를 연장하고 추가 방역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집단감염 확산속도를 늦추기 위해 방역수칙 준수가 어려운 취약시설에 대한 선제 관리를 더욱 강화한다. 현재 설정한 고위험시설 8개 외에 취약 시설을 추가한다는 방침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주말을 기준으로 2주간 하루 평균 환자는 39.6명이다. 또 이번주에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하루 40~50명의 코로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9일부터 전날까지 최근 2주간 신규 환자의 96.4%는 수도권에서 나왔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