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역사로 인한 韓日 디지털 격차...한국이 일본에 2배 뒤쳐져

아이리스 0 479 0 0




국가별 디지털 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개인 기본 역량 비교에서 우리나라는 일본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고령층의 학력이 일본보다 뒤떨어진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역사적인 악재가 양국의 디지털 경쟁력 차이를 벌이는 결과까지 초래하게 됐다.

19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발표한 ‘역량 전망 점수 2019-디지털 세상에서의 번영’(Skills Outlook ScoreboardThriving in a digital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16~65세를 대상으로 한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서 중간 이상(레벨3)의 독해와 수리 능력 보유 비중은 60% 수준으로 29개 조사 대상 국가 중 1위였다. OECD는 레벨 1부터 5까지 구분해 연령대별 디지털 역량을 평가했다. OECD는 “우수한 기본 역량을 보유할수록 인터넷 사용 효용성은 극대화된다”며 독해 및 수리 능력이 디지털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같은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레벨3 보유 비중은 37% 미만으로 일본보다 2배 가량 낮았다. 순위도 17위에 그쳐 전체에서 중간 정도에 머물렀다.

반면 독해, 수리, 컴퓨터 능력 등이 낮은 레벨1 비중(55~65세)은 일본의 경우 8.5%로 OECD 평균(17.1%)보다 크게 낮았다.

한국은 27.8%로 OECD 평균에 10%포인트 이상 상회했고 일본보다 3배 이상 높아 특히 장년층에서 디지털 기본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OECD도 한국은 고령층의 디지털 기본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임언 박사는 “PIAAC 조사에서 국내의 가장 큰 특징은 1020세대는 최상위인 반면 60세 전후는 최하위여서 평균적으로 중간값이 나오는 것”이라며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력인데, 한국은 일제 강점기와 내전을 겪으면서 고령층일수록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한계 때문에 조사에서 낮은 점수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임 박사는 그러나 “이번 OECD 결과는 2011~2012년 실시된 1주기 조사에 기반한 것으로 현재 70세 전후 대상자들이 당시 포함됐을 것”이라며 “2주기 조사가 시작되는 2021~2022년에는 국내 평균이 일정 부분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업무 자동화에 대비해 교육이 필요한 근로자 비중에서 일본은 기본 교육(최대 1년)과 중요 교육(최대 3년)의 경우 각각 9.5%, 2.6%로 모두 OECD 평균보다 낮았다.

한국은 각각 14.7%, 5.1%로 OECD 평균 이상이어서 일본보다 자동화에 대한 근로자 교육이 시급하다고 OECD는 덧붙였다.

정부는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해 1997년부터 정보격차해소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정작 최근 예산은 줄고 있는 실정이다. 2017년 결산액 133억원, 지난해 124억원에서 올해 별도 추경예산이 반영되지 않아 114억원 정도에 그쳐 전년보다 8% 감소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casinoleak.com


온카888 

온카 


카지노커뮤니티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