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집단감염 가족-지인 모임·직장·요양시설서 가장 많이 발생"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 감염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가족·지인 모임과 직장, 요양시설에서의 감염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지난 10월 1일부터 이달 10일까지 확진자 1만6천286명의 감염경로를 집계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감염경로를 보면 이 기간에 발생한 전체 확진자 중 절반에 가까운 7천547명(46.3%)이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됐다.

특히 집단감염 사례 중에서는 가족·지인모임으로 감염된 사례가 1천645명(21.8%)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직장에서의 집단발병으로 감염된 사례가 971명(12.9%), 요양병원·시설은 934명(12.4%)으로 뒤를 이었다.

또 체육·여가시설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도 851명(11.3%)이었으며, 의료기관 집단감염도 702명(9.3%)으로 집계됐다.

연령별 주요 집단발생 감염경로
[중앙방역대책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령대에 따라 주요 감염경로는 조금씩 달랐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요양병원·시설 내에서 집단감염에 노출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60세 미만에서는 가족·지인 모임에서의 감염 빈도가 높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0∼19세는 가족·지인 모임(35%), 교육시설(20.8%), 체육·여가시설(14.7%), 종교활동(6.1%), 의료기관(5.6%)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이 가장 왕성한 2039세, 4059세 연령군에서는 가족·지인 모임이 각각 16.3%, 23.8%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며, 직장(16.2%, 18.6%), 체육·여가시설(13.1%, 12.9%)이 뒤를 이었다. 2039세의 경우 군부대 내에서 집단감염된 비율도 10.7%를 차지했다.

60세 이상에서는 요양병원·시설 내 감염이 28.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가족·지인 모임(19.0%), 의료기관(10.7%), 일반음식점·카페(9.3%), 직장(9.1%) 순으로 집계됐다.

이 밖에 집단감염 외 감염경로로는 4천644명(28.5%)이 '선행 확진자와 접촉'으로 분류됐으며, '감염 경로 불분명'은 2천496명(15.3%), '해외유입 및 관련' 감염자는 1천599명(9.9%)으로 집계됐다.

방대본은 확산세가 거세지기 시작한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5일까지의 확진자를 별도로 분석한 자료에서 '선행 확진자와 접촉'으로 분류된 확진자 중 가족·동료·지인에 의한 전파 사례가 전체의 58.2%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급적 가족·지인 모임을 취소하고, 불가피하게 참석할 경우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모임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