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유족 "이태원참사 진상규명, 이렇게 끝날 수 없어"…3차 시민추모제

북기기 0 134 0 0


이태원참사를 수사해온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출범한 지 74일 만인 지난 13일 피의자 23명을 송치하며 수사를 마무리한 가운데, 유가족들이 추모제를 열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0005406153_001_20230114171401074.jpg?type=w647
1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 주최로 열린 3차 시민추모제.(사진=연합뉴스)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14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시민추모제 ‘우리를 기억해주세요’를 열고 “2023년은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을 촉구하고, 함께 연대로 이어가는 한 해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16일과 30일에 이어 세 번째다.

이날 추모제엔 유가족 50명과 시민 400여명이 우비를 입고 우산을 든 채 “기억하겠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함께하겠습니다.”라고 외쳤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 또한 노란 마스크를 쓰고 추모제에 참석했다.

지난달 12일 이태원참사 트라우마로 극단적 선택을 한 159번째 희생자 이재현 군의 아버지는 “이태원에서 겨우 살아왔는데 또 다른 고통을 겪다가 친구들에게 갔다는 게 믿기지가 않는다”고 울먹였다.

이어 “죽기 전 일주일 동안 밝은 모습으로 밥도 잘 먹고 노래도 많이 부르고 게임도 재미있게 해서 이제 조금씩 예전으로 돌아오나 하고 안심했다”며 “그런데 그게 친구한테 갈 결심을 하고 마음이 편안해져서 그랬다는걸 알고 나서 너무 가슴이 아팠다”고 덧붙였다.

단체는 특수본 수사에 대해 ‘꼬리 자르기’로 끝을 맺었다고 비판하며 종료 시점을 3일 앞둔 국정조사도 진상규명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국정조사를 겨우 연장했지만 여전히 달라진 것은 없고, 아무것도 제대로 밝히지 못한 채 보고서 채택만을 남겨둔 상태”라며 “특수본 수사는 ‘꼬리 자르기’로 끝을 맺었지만 이렇게 끝날 수는 없다”고 했다.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오는 17일 활동 종료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 11월 24일 출범한 국조특위는 국회 예산안 심사 지연 등으로 인해 활동기간을 그대로 흘려보낸 뒤 12월 21일 첫 현장조사에 나섰다. 여야는 7일 종료 예정이던 국조특위 활동기간 연장에 대한 목소리가 이어지자 10일 연장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시민대책회의는 오는 30일부터 참사 100일째인 다음 달 5일까지 집중 추모 기간으로 지정하고 다음 달 4일 서울 도심에서 추모제를 열 계획이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