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쏘카’ 빌릴 때 모바일 운전면허증 쓴다

비공개 0 591 0 0


SKT-KT-LG유플러스-경찰청 협력
스마트폰 본인인증 앱 ‘패스(PASS)’와 운전면허확인 서비스 결합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위변조 방지 등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내년 상반기부터 차량공유 서비스 ‘쏘카(SoCar)’ 이용자 등 운전자들은 지갑 속 운전면허증 대신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운전 면허증’으로 운전자격을 입증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와 경찰청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함께 개발‧운영키로 하면서다.
 

이동통신3사는 통합 본인인증 앱 ‘패스(PASS)’ 기반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ICT 규제 샌드박스 임시허가를 취득, 경찰청‧도로교통공단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추진을 위한 협약식이 끝난 후, 박수철 KT 금융플랫폼사업담당, 이영상 경찰청 교통국장, 오세현 SK텔레콤 블록체인‧인증 유닛장, 남승한 LG유플러스 e-Biz사업담당(왼쪽 첫 번째부터)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 사진=이동통신3사



■내년 초, 스마트폰 앱에 운전면허증 담는다

이통3사는 스마트폰으로 본인인증을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패스(PASS, 옛 T인증‧KT인증‧U+인증 통합)’ 기반의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앞서 이통3사는 지난달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에 대한 임시허가(ICT 규제 샌드박스)를 받았다. 이에 따라 이통3사는 ‘패스’와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을 연동해 내년 1‧4분기에 각사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협업할 계획이다.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구성 / 사진=이동통신3사



■쏘카 등 공유 모빌리티와 운전면허증 결합

내년 초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 ‘패스’ 앱에서 이용약관에 동의한 후, 실물 운전면허증만 등록하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보여 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경찰청‧도로교통공단의 ‘운전면허정보 검증 시스템’과 연동돼 실시간으로 소유자의 운전자격 및 신원확인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이통3사는 모바일 운전면허증 소유자의 개인정보를 강력 보호하기 위해 블록체인과 같은 보안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즉 모바일 운전면허증 이용자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위협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운전면허증 관련 정보는 스마트폰 내부에만 저장하고, 블록체인 등의 기술로 데이터를 암호화해 위‧변조 및 해킹을 방지할 방침이다. 또 금융 서비스에 적용되는 백신‧보안 키패드‧위변조 방지 기술 등 다중 안전장치도 적용될 예정이다.

이통3사와 경찰청은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교통안전 확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최근 공유차량이나 공유 전동 킥보드 서비스 같이 운전자격 확인이 필요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과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접목하면, 개인정보 유출 및 운전면허증 도용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통3사는 국내 대표 공유차량 서비스 사업자 ‘쏘카’와 모바일 운전면허증 도입 및 적용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통3사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지갑 없이 휴대전화만 들고도 생활이 가능한(wallet-less) 사회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모바일 간편결제 확산과 더불어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통한 신원확인까지 가능해지면 고객의 편의가 극대화되고 관련 서비스 생태계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