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한국서만 유독 높은 ‘정신과 문턱’… 원인은 제도적 불이익·편견

보헤미안 0 198 0 0


최근 1년간 발병자 7%만 상담
캐나다 46%·미국 43%와 대조
지난해 발표된 정신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평생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 중 10.1%, 최근 1년간 걸린 사람 중 단지 7%만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상담했다. 이는 캐나다(46.5%) 미국(43.1%) 등에 비해서 크게 낮은 수치다. 한국에선 정신과 치료가 필요한 사람과 실제 치료받는 사람의 격차가 크다는 의미다.

이런 치료 격차는 주로 제도적 불이익에 대한 우려, 사회적 낙인·편견에서 비롯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진흥원 서화연 교수는 최근 서울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이 주최한 2022년 정신건강 연구 심포지엄에서 2016년 1월~2019년 7월 네이버 블로그, 트위터, 카페 등에서 정신과와 연관된 단어를 포함하는 600만건의 글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제도적 불이익으로 분류될 수 있는 단어(34%)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사회적 인식을 나타내는 단어(27.8%), 약 부작용 연관 단어(18.6%), 치료 비용 관련 단어(16.1%)가 뒤를 이었다. 제도적 불이익 카테고리에서는 ‘기록’ ‘공무원’ ‘보험 가입’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사회적 인식 범주에서는 ‘미친 사람’ ‘부정적 인식’ ‘편견’이란 단어가 가장 흔했다.

연령에 따라 10·20대의 경우 제도적 불이익에 가장 민감하게 나타났고 50대 이상에서는 사회적 인식이 정신과 방문에 가장 큰 걸림돌로 파악됐다.

서 교수는 “정신과 문턱을 낮추고 치료 격차를 줄이기 위해 세대별 맞춤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면서 “젊은층은 정신과 진료 기록이 남지 않게 하는 등 입시·취업에서의 차별 금지에 대한 제도적 개선, 장노년층에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 예방 교육 및 인식 제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