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아빠 지갑엔 10만원, 아들 주머니엔 5만원

마법사 0 549 0 0

오랜만에 만난 대학 동기들과 저녁을 먹고 'N(인원수)분의 1'로 계산하려던 직장인 김수지(30)씨는 자신을 포함해 네 명이 가진 현금이 3만원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다. 결국 김씨가 저녁값 10만원을 카드로 결제하고 나머지가 '송금앱'으로 돈을 보내주기로 했다.

김씨와 친구들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갑에 넣고 다니는 돈이 3년 전보다 33%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편 송금 서비스와 카드 사용이 확산되면서 갈수록 '현금 없는 사회'가 되어가는 것이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 사용 행태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기준 가계의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000원으로 2015년(11만6000원)보다 3만8000원(33%) 줄었다. 가계의 거래용 현금 보유액은 설문 당시 응답자가 지갑이나 주머니에 가진 현금이 얼마인지를 조사한 것이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현금 보유액이 5만4000원으로 가장 적었고, 30대(6만7000원), 60대 이상(6만7000원), 40대(9만1000원), 50대(10만5000원) 순이었다.

경조사 등 비상시를 대비해 집 장롱 속이나 사무실 서랍 등에 '예비용 현금'을 가진 가계는 조사 대상자의 23.3%였다. 이 비율도 3년 전(27.0%)보다 줄었다. 예비용 현금 보유자 중 가계당 평균 보유액은 54만3000원으로 3년 전(69만3000원) 대비 22% 감소했다. 지급 수단별로 지출액 비중을 보면 신용카드·체크카드가 52.0%로 1위, 현금은 32.1%로 2위였다. 2015년 조사 땐 현금이 38.8%로 신용·체크카드(37.4%)와 비슷한 비중이었는데 3년 새 큰 차이로 역전됐다.

여전히 현금을 많이 쓰는 곳은 전통시장(40.2%), 수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신용카드를 받지 않는 전통시장에서 식료품 등을 살 때, 편의점에서 담배 한 갑을 살 때는 현금을 쓰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설문 대상자들에게 최근 1년간 현금 보유가 감소한 이유를 물었더니 "간편 송금 서비스 등으로 현금을 휴대할 필요성이 줄어서"라고 답한 사람이 38.7%로 가장 많았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888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