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굳이 차 살 필요없어요”…차 안사는 30대 점점 늘어

마법사 0 716 0 0
#1. 직장인 김모(35)씨는 본인 소유의 집은 있지만 차는 없다. 처음에는 내집 마련을 위해 차 사는 걸 미뤘지만, 지금은 차를 구입할 계획이 전혀 없다. 김씨는 “차량 유지비나 기름값이나 여러 소요비용을 따져보면 요즘 대중화된 공유차가 훨씬 가성비가 좋은 것 같다”며 “제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차량을 빌릴 수 있는데 굳이 차를 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2. 자영업자 이모(37)씨는 올 1월 수입차를 구입했다. 10여년 된 국산 중고차를 타고 다니던 그는 “이번에 차를 바꾸기로 결심하면서 국산차는 처음부터 선택지에 넣지 않았다”며 “그동안 타고 다닌 차나 국내 브랜드에 대한 불만보다는 수입차에 대한 동경같은 것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이씨는 “주변에서는 ‘아직 집도 없는데 무슨 외제차냐’라는 불편한 시선도 있었지만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아서 과감하게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시장의 최대 수요층인 30대의 구매가 3년 연속 줄어든 반면, 수입차 구매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1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의 승용차 신규등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차를 구매한 30대(30∼39세) 개인고객은 모두 26만5296명으로 이 가운데 5만7542명이 수입차를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전체 승용차 신규등록은 111만6851대로 전년보다 2.6% 줄었다. 이는 2015년 117만5428대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수치다. 특히 30대는 전년보다 4.4% 줄었고, 40대 역시 4.9% 감소해 다른 연령대보다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50대는 0.5% 감소에 그쳤고, 60대 이상은 2.6% 증가하는 등 5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동차 소비 성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지난해 30대의 수입차 점유율은 21.7%로 사상 처음으로 20%를 넘어 새 차를 산 30대 5명 가운데 1명이 수입차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수입차 선택 비중은 40대가 17.2%로 2위였고, 50대 10.8%, 60대 이상 10.3%, 20대 이하 9.3% 등의 순으로 전체 평균은 14.9%였다. 30대와 40대의 수입차 점유율은 다른 연령대보다 빠르게 높아졌다. 2010년 수입차 선택 비중이 가장 높았던 연령대인 60대 이상은 2010년 5.3%에서 2018년 10.3%로 5.0%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30대는 같은 기간 4.9%에서 21.7%로 16.8%포인트 늘었고, 40대는 4.9%에서 17.2%로 12.4%포인트 늘었다.

이같은 30대의 자동차 구매 성향과 관련해 업계에서는 젊은 세대의 차량 구매 동기 약화와 구매력 저하, 차량 공유 확대 등이 3040세대를 중심으로 자동차 ‘탈소유’ 현상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30대의 신차 등록 비율이 감소 추세에 있는 것과 동시에 국내 차량 공유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내년에는 5000억원까지 규모가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차의 판매 감소와 달리 수입차 판매는 꾸준히 늘고 있어, 특히 자기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한 30대에서 수입차 점유율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