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탈원전 탓"…'시총 2→22위' 급락한 한국전력

비공개 0 405 0 0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한국전력의 주가가 정부의 탈원전 정책의 영향으로 줄곧 내리막이다. 한때 2~3위를 오르내리던 시가총액 순위는 어느새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신종 코로노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기요금 인상도 쉽지 않아 당분간 주가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한국전력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3% 떨어진 2만1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말 주가(2만7800원) 대비 24.1% 하락한 상태다. 1년 전 주가 3만6000원와 비교하면 41.3% 급락했다.

시가총액 역시 크게 줄었다. 1년 전 한국전력의 시총은 22조9800억원 규모였지만 전날 종가 기준으로는 13조5454억원이다. 1년 새 9조4300억원이나 쪼그라든 것이다. 이 기간 시총 순위도 8위에서 22위로 14계단이나 밀렸다. 2016년 상반기까지만해도 시총 2위 자리를 지켰던 한국전력이 불과 4년 만에 20위권까지 밀려난 것이다.

최근 1년간 한국전력의 주가가 40% 빠지는 사이 외국인은 9456억원어치의 주식을 내다 팔았다. 외국인의 매도 물량은 개인(8203억원)과 기관(852억원)이 대부분 소화했다.

한국전력 주가는 이번 정부가 들어서면서 줄곧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기조로 원전에 대한 점검과 정비계획을 진행하면서 원전 가동률이 하락해 한국전력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다.

한국전력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1조3500억원으로 전년도 손실(2080억원)과 비교해 6.5배나 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제유가가 급등해 사상 최악의 적자를 냈던 2008년(-2조7980억원) 이후 최대 규모다.

주가 반등을 기대했던 전기요금 인상 움직임도 불확실해 졌다. 올해 상반기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도입,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폐지 등을 포함한 전기요금 개편안에 대해 정부 인가를 얻을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가뜩이나 얼어붙은 소비심리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적절치 않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류제현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불안은 유가 하락에 따른 원가 감소 효과를 가져오지만 전례 없는 사회적 불안감의 형성은 한국전력의 전력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며 "전기요금 기대감 역시 한층 더 낮아지고 있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