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댐 붕괴 사고, 그 후 6개월
지난해 7월23일 SK건설이 라오스에 건설하던 세피안·세남노이 댐의 보조댐 하나가 무너졌다. 올해 1월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 대응 한국 시민사회 TF’는 라오스를 찾아 피해 실태를 조사했다. 시민사회 TF 대표로 1월11일부터 24일까지 라오스에 다녀온 윤지영 피스모모 정책팀장이 글을 보내왔다. <시사IN>은 지난해 9월 사고 댐과 수해 지역 등 라오스 현지를 취재한 바 있다(<시사IN> 제578호 ‘마을이 있던 자리’ 기사 참조). 라오스 정부가 꾸린 ‘진상조사위원회’는 2월 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 무리의 여성들이 한국산 인스턴트 라면 몇 봉지를 받아들고 줄지어 오고 있었다. 그중 한 여성과 눈이 마주쳤다. “사바이디(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며 미소 짓는 얼굴에 깊이 가라앉은 슬픔이 배어 나왔다. SK건설이 짓던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 이후 6개월이 지나 찾은 라오스 아타프 주 사남사이 군의 핫야오 임시 주거 캠프에서 마주한 첫 광경이었다.
“우리 마을 사람들은 전부가 농사꾼이에요. 소 키워 쌀농사 짓고 밭에 야채 키우고 강가에 물고기 잡으러 가는 일이 일상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요. 보시다시피 하루 종일 여기 앉아서 멍하니 있다가 간신히 밥 지어 먹고, 가끔 누가 갖다주는 인스턴트 국수나 받아오고. 또 하염없이 앉아 있다 깜깜해지면 자고. 그게 다예요. 여기선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반대편 평상에 앉아 있던 래 씨(가명·35)가 갑자기 상기된 얼굴로 입을 열었다. 지금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처럼 다급히 내 손을 붙들었다. 한국에서 온 조사단이라고 소개를 해서일까. “그날 저녁 8시경이었어요. 마을 사람들이 소리치기 시작했어요. 물이 점점 차오르는 게 아니라 순식간에 ‘와다다다다’ 엄청난 굉음과 함께 밀어닥쳐 왔어요. 배를 타도 뒤집어지는 상황이었죠. 주변 나무들도 다 꺾여 뒤집어지고, 입은 옷이 다 벗겨져 속옷 차림이었어요. 모두가 휩쓸려 떠내려갔어요.”
©시사IN 이명익 지난해 7월 댐 붕괴 사고로 라오스 주민 1만여 명이 피해를 입었다.
그날의 악몽이 떠오르는 듯 래 씨의 얼굴엔 공포와 슬픔이 번갈아가며 스쳐갔다. 당시 비가 많이 오긴 했지만 매년 반복되던 수준의 폭우였다. 아무도 이 정도 파괴력을 지닌 수마가 닥칠 것이라고 말해주지 않았다고 했다. 댐이 무너질 것이라고 상상조차 해본 적 없었다. 마을을 따라 흐르는 강 상류에 댐이 있다는 사실도 전혀 몰랐다. 댐이 건설 중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면 많은 주민들이 마을을 떠났을 것이라고 했다. 조상 대대로 살아온 마을이 안전하지 않다는 점을 아무도 말해주지 않았다.
래 씨가 살던 ‘마이’ 마을은 사고로 실종자 3명, 사망자 8명이 발생했다. 마이 마을 주민들이 임시로 살고 있는 핫야오 캠프에는 전체 주민 767명 중 523명이 거주한다. 나머지 244명은 1㎞ 떨어진 동박 캠프에서 살고 있다. 지난 6개월간 마이 마을에서 새 생명 10명이 태어났다. 주민들은 한창 잘 먹어야 할 산모와 갓난아기들의 영양 상태를 걱정했다.
만나는 주민들마다 ‘할 일이 없다’는 게 가장 힘든 점이라고 토로했다. 해 뜨자마자 논으로 밭으로 강으로 나가 식구들 먹을거리를 챙겨오던 이들은, 정부에서 매월 지급하는 쌀 20㎏과 부식비 10만 키프(약 1만4000원), 하루 5000키프(약 700원)에 의존해 살며 때때로 외부에서 보내주는 인스턴트 국수를 배급받으러 간다. 그마저도 사고 직후에는 다양한 구호물품들이 쏟아지다가 지금은 거의 끊겼다고 한다. 직접 잡은 싱싱한 자연산 민물고기를 먹다가 시장에서 물고기를 사다 먹는 것도 이제는 힘들어진 형편이다. 앞으로 4~5년은 더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탄식을 뱉는 이의 눈동자는 폐허가 된 그들의 보금자리만큼이나 황폐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