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홈 > 커뮤니티 > 이슈
이슈

집 있고 일 있는 청년, 결혼에 더 긍정적

북기기 0 121 0 0











주택을 소유하거나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이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결혼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1일 공개한 청년통계등록부상 '배우자 없는' 19~34세 인구를 '2020년 사회조사'와 연계해 분석한 결과, 취업한 청년의 35.0%가 결혼에 긍정적인 견해를 가진 반면 미취업 청년의 경우 30.2%만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에 대한 태도는 주택 소유 여부에 따라서도 갈렸다. 주택을 소유한 청년의 경우 38.9%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청년의 경우 33.8%가 결혼에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다만 청년들은 취업 및 주택 소유 여부와 무관하게, 결혼에 대해서는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취업 청년은 52.5%, 미취업 청년은 55.4%가 이같이 응답했으며, 주택 소유 청년과 미소유 청년은 각각 48.9%, 3.4%가 이같이 응답했다.

청년 신규창업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기준 19~34세 청년 인구가 등록한 개인사업체는 총 52만5000개로, 이 중 30%인 15만8000개가 그해 신규 창업한 업체였다. 청년이 경영한 업체 중 폐업도 많았는데, 지난해 7만6000개 업체가 폐업했으며 이 중 68.8%가 개업한지 2년이 되지 않은 업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로 나눠보면 상시근로자가 73.4%로 가장 많았고, 자영업자가 15.7%, 일용근로자가 11.0% 순이었다. 일용근로자 비중은 2년 전과 비교해 3.7%포인트 감소해, 2015년 이후 꾸준히 감소세를 이어갔다.

상시근로자 청년의 연간 근로소득은 '2000~3000만원 미만'(24.1%)과 '3000~4000만원 미만'(18.7%)이 가장 많았다. 1년에 2000만원보다 적은 금액을 버는 상시근로자 청년 비중은 32.8%에 달했다. 


ㅡㅡ지우지 말아 주세요 ㅡㅡ


온라인카지노 커뮤니티 일등!! 온카 https://onca888.com


온카 


0 Comments
제목

  메뉴
  고레벨 회원 랭킹